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결정을 만들어낸 소금이 대표적인 예다. 함경식 소장은 미국 조지아대에서 생화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1997년부터 목포대 식품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관심을 못 받아왔던 천일염에 대한 연구를 2003년부터 시작해 지금은 국산 천일염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신종으로 등재할 계획이다.임종덕 학예연구관은 미국 캔자스대에서 척추고생물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BK21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센터에 재직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공룡화석산지와 중생대 및 신생대 척추동물화석 연구를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SOD1 유전자가 운동신경세포의 세포골격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보라매병원 신경과 전문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 서울대 의대 신경과학 교실의 조교수로 루게릭병에 대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하고 있다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발병 메커니즘이 불확실한 퇴행성 뇌질환인 프리온 질병에 대한 의학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저자가 풀어낸 ‘광우병 논쟁’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큰 매력적인 저서임에 틀림없다.동종교배로 양의 품종을 개량하면서 18세기에는 양과 염소의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퇴행성 질환인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자유로운 연구실을 만드는 것’이다. 실제로 마이크로RNA연구단은 석사과정 학생이나
박사
후연구원부터 김 교수까지 모두가 동등하게 의견을 내고 아이디어를 주고받을 정도로 자유롭다. 그는 연구단에서 마이크로RNA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자세하게 예상한 성과도 이렇게 자유로운 토론이 가능한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붉은색을 띠는 반면, 청색왜소은하는 파란빛을 내는 막 태어난 뜨거운 별이 많다. 성
박사
는 “청색왜소은하의 중심에서는 가히 폭발적으로 별이 탄생한다”며 “이는 왜소은하 주변의 천체가 조석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즉 우주 초기에 수소 가스가 모여 별이 만들어진 뒤 수십억 년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누구나 가위바위보 왕이 될 수 있다.● 영국 왕립런던병원의 알래 스테어 데이비슨
박사
는 가위바위보를 이용해 손의 다친부위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2003년 의학저널 ‘인저리’에 소개했다. 가위는 척골신경이, 바위는 주먹을 쥐고 내미는 정중신경, 보는 손과 손목을 펴는 데 관여하는 ... ...
화성 표면의 다각형은 물의 증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최대 지름은 65m였습니다. 하지만 실제 화성에서 관측된 다각형은 훨씬 컸습니다.매리
박사
는 “틈새의 원인이 열이 아니라, 물이 증발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을 때 생기는 압력 때문에 다각형 지름의 크기가 커졌다”며 “이는 화성에 물이 있었다는 증거”라고 말했습니다. 물이 기체로 변하는 ... ...
시각 장애인 눈 대신하는 ‘전자 지팡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대한 두려움을 떨치고 자유롭게 외출할 수 있도록 돕는 길잡이가 되는 셈이다.하라브
박사
는 “쇼핑몰이나 박물관을 돌아다니거나 버스 정거장에서 집까지 오는 체험을 할 수 있다”며 “가야 할 장소를 자신있게 고르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초식남'과 '건어물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연구 결과를 생태진화 분야 학술지인 ‘행동생태학’ 8월호에 발표했다. 색스턴
박사
팀은 남성의 얼굴과 여성이 느끼는 호감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일부 얼굴 사진은 남성다움이 두드러지도록 합성했고 일부 사진은 조사에 참가한 여성들의 얼굴과 비슷하게 합성했다.각각의 얼굴에 대한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