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능설계 및 그래픽스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그래픽수집한 영상을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도 연구실의 주 연구 분야다.
지난
2003년에는 2차원 영상을 차곡차곡 쌓아 3차원 영상으로 바꾸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 기술은 ‘메디서프(medisurf)’라는 의료용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쓰였다.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 ...
기술혁신으로 녹색 성장을 이뤄내자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루며 상생하는 방법은 없을까? 녹색 성장을 향한 기술 혁신이 바로 그 해답이다.
지난
해 서울에서 열린 G20 비즈니스 정상회의의 핵심 의제는 녹색 성장이었다. 친환경 기술과 대체 에너지로 성장을 이루는 녹색 산업에 쏠린 세계적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 녹색 성장은 녹색 화학이 뒷받침돼야 ... ...
수학 성적, 아무리 노력해도 안 오른다면?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수학에 대한 학습장애를 의심해 봐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
5월 26일, 영국의 런던주립대 브라이언 버터워스 교수팀이 미국의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학년에 맞지 않게 간단한 연산도 주로 손가락 셈에 의존하거나 미지수(문자)가 포함된 식에서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추상적인 시”“어쩌면 수학 공식은 가장 간결하게 쓴 추상적인 시 같아요.”
지난
5월 ‘숫자벌레’라는 수학 동시집을 펴낸 함기석 시인의 말이다. 문학의 여러 장르 중에서도 ‘시’란 분야에 수학이란 주제로 동시를 쓴 시인은 “시를 통해 학생들이 수학을 놀이처럼 대했으면 좋겠다는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물리학자였던 토리첼리가 17세기에 처음 찾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200여 년이
지난
19세기에 슈타이너가 기하학적으로 증명해냈다. 한편 피에르 페르마는 삼각형으로 같은 문제를 제시했었다.그럼 육각형의 6점에는 슈타이너 점이 항상 존재하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 정육각형이 아닌 평범한 ...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정확히 9ℓ를 담아라. 단 3ℓ 측우기로 직접 물을 담아 부을 수는 없다. 만약 5분이
지난
후에 시한폭탄 측우기 안에 정확히 9ℓ가 남아 있지 않으면 폭탄이 터질 거다. 우훼훼훼!”문제 3각각 5ℓ와 3ℓ를 담을 수 있는 측우기로 어떻게 정확하게 9ℓ를 담을 수 있을까? 게다가 3ℓ로는 직접 물을부을 수 ... ...
Part 1. 꿀벌 여왕의 독백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동양 꿀벌 여왕의 슬픈 독백을 들으니 저까지 슬픈 기분이 드네요. 우리 서양 꿀벌도
지난
몇 년 동안 대단히 큰 재난을 겪었답니다. 우리가겪은 현상은 좀 특이해요. 벌이 집을 나가 돌아오지 않는 현상이지요.‘봉군붕괴증상(CCD)’이라고 부르는데, 벌이 죽는 게 아니고 텅 빈 벌집만 남겨놓고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병을 퍼뜨리기 최적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국립수의과학감역원 꿀벌질병관리센터는
지난
5월 낭충봉아부패병에 걸린 애벌레 한 마리가 어른 벌 10만 마리를 감염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동양벌 벌통 하나에 보통 3만 마리의 벌이 있으니 최소한 근처 세 개의 벌통은 순식간에 ‘대학살’될 수 ... ...
눈으로 배우는 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박사의 책과 같이 118개의 원소를 모두 다루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을 경쾌하게 묘사한다.
지난
6월 1일, 국제순수응용화학회(IUPAC)은 원소번호 114번 ‘우눈쿼듐’과 116번 ‘우눈헥슘’을 주기율표 상의 새 원소로 등록하겠다고 발표했다. 2009년 원소번호 112번 ‘코페르니슘’을 등록한 지 2년만이다.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애벌레들이 살아남기 위해 필사적이고 독특한 생존 전략을 발전시킨 내용은
지난
6개월 동안 소개했다.이번 달에는 애벌레의 어원과 생김새, 분류에 대해 알아본다. 보통 애벌레(larva)는 번데기 단계를 거치며 완전히 탈바꿈해 애벌레의 모습을 전혀 찾을 수 없는 완전변태 곤충인 딱정벌레나 나비의 ... ...
이전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