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왜 이런 일이 일어나게 된 건지 설명해 주마!초강력 지진의 원인은 판들의 힘싸움?
지난
번 백두산에 갔을 때 아저씨가 알려 줬지? 지구는 지각과 그 밑에 있는 맨틀의 딱딱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판’이라는 땅덩어리로 둘러싸여 있단다. 그런데 이 판은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지. 판의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결승전까지 반복되므로 대진표 작성이 의외로 간단하다. 하지만 전국 53개 팀이 참가한
지난
해 봉황대기 야구대회는 2n 꼴로 나타낼 수없다. 이 경우엔 어떻게 해야 할까?가능하면 2회전부터는 경기 팀 수가 2n 꼴이 되도록 1회전에서 부전승팀을 정한다. 부전승팀은 11팀(25 < 53 < 26, 26-53=11)이 된다. 즉 1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지진해일 걱정없는 도시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04년, 일본의 시미즈 건설회사는 수십 m의 지진해일도 견뎌내는 피라미드형 도시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이 도시는 해수면보다 약 730m 높은 곳에 2000m 높이로 지어질 계획이다. 피라미드 안에는 약 75만 ... ...
[수학클리닉] 부등식 짚고 넘어가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24세까지 일일이 나열하기보다 범위를 이용하면 더욱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지난
3월 11일, 일본의 대지진을 기억하시나요? 지진의 어마어마한 파괴력으로 일본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죠. 그래서 요즘 건물을 새로 지을 때는 일정 규모의 지진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한다고 해요. 지진의 세기는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토네이도로 큰 피해를 본 뒤 이에 대비하기 위해 돌풍발생장치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지난
해 일본 국토기술책종합연구소의 히토마츠 키키츠 박사팀은 지름 1.5m, 높이 2.3m의 둥근 ‘돌풍발생장치’를 만들었다. 이 장치는 천장에 달려 있어 실제 토네이도와 유사한 과정으로 회오리를 발생시킨다. 또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과장했다는 비판도 많았다. 사이언스도 이를 의식해서인지 온라인판 게재 이후 6개월이
지난
6월 3일자에 정식논문을 실었다. 이렇게 시간이 걸린 것은 이례적이다. 특이하게도 비소 박테리아 논문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여덟 편의 짧은 논문도 함께 실렸다. 물론 울프-사이먼 박사의 해명도 덧붙였다. ... ...
칠레 화산재가 지구를 한 바퀴 돌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지난
6월 4일 칠레 남부의 푸예우에 화산이 폭발하면서 생긴 화산재가 대기 속만 5000m까지 들어왔다. 화산재 중 작은 입자가 제트기류를 타고 번지면서 세계 여러 공항의 비행기 운항이 취소되거나 지연되고 있다.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궤도형 민간 우주선은 스페이스엑스사의 우주비행선 ‘드래곤’이다. 스페이스엑스사는
지난
해 12월 8일 로켓엔진을 9개 묶은 1단 로켓과 엔진을 1개만 장착한 2단 로켓 팰콘 9호를 이용해 드래곤을 궤도에 진입시키고 지구로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드래곤은 오는 9월 우주정거장에 근접비행을 ... ...
‘공짜로’ 과학을 체험하는 황홀한 기회, LG사이언스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두툼해졌고, 유럽인으로 바뀔 때는 점점 하얘지면서 코가 오뚝해지고 턱이 갸름해졌다.
지난
5월 14일에 재개관한 ‘LG사이언스홀’은 7개월 동안 전체 아이템의 90%를 새롭게 도입해 놀이를 통한 생활 속 과학원리 체험의 장으로 다시 태어났다. 손바닥을 스캔해 피부 세포부터 DNA까지 관찰할 수 있는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다이옥신도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 발암성이 문제 됐다. 휴대전화 전자파도 시간이 더
지난
후에 발암 인자로 밝혀질 수 있다. 특히 뇌종양은 잠복기간이 15~30년 정도로 길기 때문에 더 오랜 연구가 필요하다. 김덕원 연세대 의대 교수는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이 안 되는 장소가 없을 정도로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