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6,151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빠른 수성 5월 22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105
이 무렵 수성의 겉보기크기는 약 10′ 가량 된다. 금성과는 비할 수 없지만 별과 구
분
하기에는 대단히 크다.5월 22일 수성은 가장 고도가 높아지므로 보기 쉽지만 그렇다고 하루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날을 전후해 약 15일 간 수성을 볼 수 있다. 즉 5월 10일 경부터 5월 말 정도까지 볼 수 있다고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05
새 또는 곤충과 같은 크기의 항공기가 가능할까. 영화에나 등장할 것 같은 이런 초소형 항공기가 현재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초소형 항공기가 현실로 다가오면 ... 항공기라는 주제 하에 어우러져 시너지 효과는 물론 각
분
야별로 답보 상태에 있는 부
분
에 돌파구를 제시해 줄 것이다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05
진리를 탐구하거나 생명의 근원을 찾아가는 것인데, 지금 우리나라의 모습은 생활적인 부
분
이 너무 강한 것 같아요. 이러한 영화를 통해서도 그렇고, 과학동아 잡지를 읽는 많은 층들도 사고의 폭을 더욱 넓히면 좋겠어요. 박사님께서도 같은 맥락의 말씀을 하신 것처럼 폭넓은 사고로 스케일이 ... ...
'집안일 척척' 인터넷 가능한 로봇견
과학동아
l
200104
목표”라고 말했다. RS-01은 경주용 자동차에 사용되는 탄소섬유를 사용해 기존 로봇보다 3
분
의 1 가벼운 무게로 제작됐으며, 전력 효율성이 높아 한번 충전하면 90
분
동안 작동된다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04
원숭이 종류뿐이다. 스페인에서 많이 행해지는 투우에서 붉은 깃발이 소보다 사람을 흥
분
시킨다는 사실은 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 소는 붉은색은 물론 검은색조차 잘 구별하지 못한다. 소는 단지 투우사가 깃발을 흔드는 움직임을 보고 달려드는 것이다.개나 소가 색맹인 이유는 무엇일까. 색을 ... ...
로봇공학
과학동아
l
200104
과거와 미래를 들어봤다. 이교수는 미국 LA소재 캘리포니아대(UCLA)에서 전기공학 제어계측
분
야의 박사학위를 받은 후 AT&T 벨연구소에 들어갔으나 1985년 중반 제너럴 일렉트릭 사로 자리를 옮겼다. 이때 미국에서는 수많은 로봇관련회사가 설립되면서 로봇산업이 붐을 이뤘기 때문이다.이교수가 ... ...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04
얕은 산으로 둥글게 둘러 쌓이고 안쪽 바닥이 바깥쪽보다 대체로 낮은 반면, 화산
분
화구는 작고 깊으며 거의 화산 정상에 있습니다.문 : 그럼 왜 이렇게 크레이터가 많지요?답 : 그 정도의 큰 자국을 남기려면 보통 운석이 아니라 거의 소행성급의 큰 천체와 충돌해야 하는데, 지구처럼 대기가 있는 ... ...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
과학동아
l
200104
메탄올로 만들고, 산과 들의 풀을 가수
분
해시켜 포도당으로 만들며, 버려지는 단백질을
분
해해 사람에게 유용한 아미노산으로 바꿀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인류의 에너지·환경·식량문제를 청산할 청사진을 인공효소로 그리고 있는 셈이다. 누군가는 공상과학영화에서나 가능할 것 같은 ... ...
미르 남태평양서 15년 일생 마감
과학동아
l
200104
신의주 지역을 통과한 미르는 30
분
강릉 남쪽 1백50km상공을 빠져나갔다. 그 뒤 오후 2시 45
분
에 대기권에 진입해 3시에 예상 폐기지점에 추락했다. 미르의 한반도 통과가 낮 시간대에 이뤄졌기 때문에 망원경으로 관측되지는 않았다.한편 지난 97년 우주화물선 충돌사고 후 미르에 1백98일간 머물면서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04
수 있다.또한 현재 과학과 공학 사이의 미개척 기술영역에서 미시공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분
야를 개척하고, 극미세계에서 광대한 원천기술을 확보해 미래산업에 필요한 실용적이고 검증된 과학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현재 연구단에는 조영호 교수를 중심으로 6명의 박사과정과 4명의 석사과정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