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했다.망망대해에서 선원들은 북극성 주변의 카시오페이아처럼 찾기 쉬운 별자리를 보고
길
을 찾았다.태평양의 폴리네시아인은 별을 이용해 태평양을 건너 먼 섬까지 다녔다고 한다 ... ...
멋진 신세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과정을 거치면서 영양분 미달로 인해 난쟁이처럼 왜소한 신체를 갖고 태어나 노동자의
길
을 걷는다. 이들은 태아세포 하나를 계속 분열시키는 방식을 통해 수백명의 똑같은 일란성 쌍둥이들로 생산된다. 이렇게 대량생산된 노동자들은 나중에 똑같은 공정을 가진 공장들에 투입된다. 이들은 ... ...
파괴된 뇌세포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한번 망가진 뇌는 결코 재생되는 일이 없다는게 학계의 정설이었다.하지만 이 학설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실험결과들이 속출하고 있다.생쥐와 원숭이는 ... 장담할 수 없다. 하지만 20세기가 남긴 최대 불치병의 하나로 꼽히는 뇌질환을 극복하는
길
이 서서히 열리고 있다는 점만은 사실이다 ... ...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화학자연에서 대칭성은 아름다움을 만들고 쓸모를 높여준다. 호수에 비친 달은 하늘에 떠있는 달과 대칭을 이루어 더욱 아름답고, 축구공이나 타이어는 둥글게 대칭인 모양에서 기능이 생겨난다. 사람들은 그림이나 건물의 대칭성에 깊은 감명을 받는다. 마찬가지로 분자를 변환하는 일을 하는 화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우리의 시간은 자연의 시간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 조상들은 우주가 걸어가는 시간의
길
을 따랐다. 태양을 통해 자연이 보여주는 시간을 앙부일구를 통해 가장 정확히 읽어낼 줄 알았던 것이다. 흔히 현대 과학은 자연의 비밀을 드러내왔다고 이야기된다. 그러나 시간에 있어서 우리는 오히려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시간단축법이 개발됐다. 불과 몇시간 내에 1만개 유전자의 구조를 알아낼 수 있는
길
이 열린 것이다.원리는 간단하다. 간세포의 RNA를 얻은 후 이를 특수 처리해 DNA 구조로 바꾼다. RNA는 구조가 다소 불안정하기 때문에 동일한 유전정보를 지닌 보다 안정된 실험재료를 만든 것이다. RNA는 단일나선이기 ... ...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것은 애초 무리다. 그런데 IMT-2000이 등장하면서
길
거리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즐
길
수 있게 됐다. IMT-2000의 세 번째 특징은 바로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통합한데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마이크로소프트 빌 게이츠 회장은 지난 10월 1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텔레콤 99’에서 차세대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잎을 먹은 애벌레들이 모두 시름시름 앓다가 죽어버린 것이다.그러나 아직도 갈
길
은 멀다. 배추에 직접 적용하고 이를 실제 재배에서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아직 자만하기는 이릅니다." 실험실에서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실제 밭에 재배하는 과정에서 뜻하지 않은 변수들로 수포로 돌아가는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봄에 돋아나는 연한 찔레 순의 껍질을 벗겨 먹었던 일이 그립다. “엄마 일 가는
길
에 하얀 찔레꽃/ 찔레꽃 하얀 잎은 맛도 좋지/ 배고픈 날 가만히 따먹었다오/ 엄마 엄마 부르며 따먹었다오”하는 민중가요에서도 이 추억을 볼 수 있다.붉은 찔레꽃은 없다하지만 백난아의 '찔레꽃'에는 한가지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대부분의 생태학자들은 중생대 말에 일어났던 생물의 대절멸 사건과 같은 일이 앞으로 생
길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그것은 소행성이나 혜성의 충돌 같은 자연재난이 아닌 사람에 의한 파괴행위 때문일 것이다. 오늘날 지구에 살고 있는 영장류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이라는 위험한 상태에 직면해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