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인간의 유전자가 모두 해독될 21세기에는 탈모를 일으키는 유전자 자체를 치료하는
길
이 열릴지 모른다. 이 일이 가능해진다면 단순히 두피의 탈모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출생할 때 유전자 결함으로 인해 눈썹이나 체모가 자라지 않는 선천성 질환도 정복될 것이다.성별 따라 맞춤식 개발뚱뚱한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유로 번번히 거절당했다. 그래서 당시 여성과학자들이 택할 수밖에 없었던 교사의
길
로 들어설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우연한 기회에 한 가난한 화학자의 실험실 조수로 취직하게 됐다. 일주일에 20달러를 받았지만 그녀는 1년 반 동안 이를 착실히 모아 뉴욕대학 화학과 대학원에 입학했다 ... ...
유전자 조작으로 빨리 늙는 쥐 생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그리고 지난 여름 복제양 돌리의 조로문제가 관심이 된 적이 있었다. 돌리의 텔로미어
길
이가 현저하게 짧아서 1년생 돌리가 세포핵을 물려받은 어미인 6년생 양과 같이 늙어있을 수 있다는 논란이 제기됐다. 당시 돌리의 노화를 논의했던 학자들이 근거한 것은 바로 생쥐를 대상으로 한 이 교수의 ... ...
서리 맞은 단풍은 꽃 보다 붉지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노란 색보다는 붉은 색 단풍하지만 옛사람들이 노란 단풍보다는 붉은 단풍을 윗
길
로 치고, 언제나 시정의 출발은 붉은 단풍이었다. 왜인가. 시인들의 눈에는 잎사귀 안에서 붉은 색을 새로 만들기 위해 분투하는 식물들의 노력이 보였던 것은 아닌지. 붉은 색 단풍은 엽록소가 사라지면서 원래 잎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74 바이러스 DNA 안에 있는 5천3백86개의 염기를 완전하게 배열했다. 이 공로로 1980년 월터
길
버트(1932-), 폴 버그(1926-)와 함께 두번째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1982년에는 DNA 재조합기술을 이용해 박테리아에 인간의 인슐린 유전자를 집어넣어 세번째 노벨상을 받는게 아닌가 하는 추측을 낳기도 했다.198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주변에 흩어진 갈라진 얼음틈은 여전히 마음을 놓지 못하게 했다. 선두주자가 이끄는
길
을 따라 기상팀이 베이스캠프를 친 곳까지 조심스럽게 한발 한발 다가갔다. 혹시 모를 북극곰의 출현을 대비해 주변을 둘러보는 것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베이스캠프 주변에는 얼음 웅덩이가 없어서 비교적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생명수다. 12개의 커다란 물통을 싣고 차로 6시간 이상 걸리는 인근 유목민 마을에서 물을
길
어왔는데, 그나마 휴대용 정수기로 걸러 꼭 필요할 때만 먹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샤워는 생각할 수도 없었다. 음식은 유목민들에게서 구한 염소와 양을 잡아 아무 양념 없이 물에 삶아 먹는 것이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바위, 또는 제기(祭器) 위에 올라가지 말 것. 술을 마시지 말 것. 무거운 짐과 험한 산
길
을 피하고 위태로운 냇물을 건너지 말 것. 마지막으로 밥을 먹을 때 색다른 맛을 찾지 말 것.제2도 - 말을 많이 하거나 웃거나 놀라거나 겁먹거나 곡하거나 우는 일을 삼갈 것.제3도 - 태아를 해치는 살기가 서려 ... ...
초고속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만한 내실 있는 정보들이 더 많아져야 한다는 점이 지적돼야 한다.
길
만 뚫어 놨을 뿐 그
길
을 경제적으로 이용할 만한 귀중한 정보가 없다면 ‘돼지 목에 진주목걸이’인 셈이다. 통신 사업자들은 PC통신 서비스와 제휴해 PC 통신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든 것도 이 때문이다.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적중술’(gene targeting)이라 불린다. 이제 유전자의 기능을 넣는 일 외에도 ‘빼는’
길
이 열린 셈이다.키메라 등장그렇다면 ‘유전자 적중술’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대상은 어디일까. 수정란이 발달하는 초기 단계의 세포다. 수정란은 2세포, 4세포를 거쳐 분열을 거듭하다 1백여개로 분열된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