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있으며, 지금까지도 세계의 표준기종으로 자리잡고 있다 속도는 6Mhz에서 최고 20Mhz까지 다
양
하다스타트렉에 나오는 기술로 2360년대에 구현되는 실제적인 가상현실 시스템이다 이동(transporter)과 복사(replicator), 홀로그래픽 시스템이 결합된 기술이다 실제 또는 가상을 배경으로 프로그래밍된 공간에서 ... ...
실험실 미인,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음극선을 조사(照射)해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작은 틈이나 결정구조의 독특한 모
양
을 찾아내는 방법이다.천연 다이아몬드는 실험실 다이아몬드보다 무늬가 복잡해 면에는 삼각형의‘성장마크’가 나타나고 모서리에는 여러 층이 생긴다. 그러나 실험실 다이아몬드는 빨리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 ...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이 주제를 연구하고 있지만 그 결과는 패션디자인이나 산업디자인, 기상학 등 다
양
한 분야에 응용된다.언젠가 자연계의 물리현상을 설명할 새로운 수학방정식이 나오지 않을까. 부정확성과 불안정성을 줄이고 완벽한 가상공간을 재현할 날도 멀지 않았다.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u =0일 때 $\frac{ ... ...
'알몸 검색기' 백스캐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하루에 쬐는 방사선의
양
은 1000마이크로렘이다.렘인체에 흡수되는 방사선의
양
을 나타내는 단위. 인체에 흡수된 방사선은DNA 구조를 손상시키는 식으로 생물학적 영향을 미친다 ... ...
무지개 빛 야광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유지하면서 오래 빛을 냈다. 연구팀은 안료와 야광물질의
양
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다
양
한 색을 낼 수 있었다.사이토 미츠노리 박사는 “빛의 삼원색을 합하는 방식으로 자연광과 유사한 흰색도 만들 수 있다”며 “이 물질은 기존의 야광물질보다 색은 7배, 빛은 2배 정도 강하고 전기가 따로 들지 ... ...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초래하는 우기(雨期) 혹은 우기에 내리는 비를 말하기도 한다 몬순은 지역마다 다
양
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에 나타나는 동아시아 몬순은 여름(따뜻한 남동풍)과 겨울(차가운 북서풍)에 뚜렷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 장마는 여름 몬순 기간에 나타난다 그러나 몬순과 장마가 반드시 ... ...
불안과 우울 날려버리는 거침없이 하이킥!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문희 구명운동을 벌여야 할 지도 모를 일이다.야동 순재 | 집에서만 큰소리치는 바깥
양
반집안의 가장인 ‘순재’는 어떨까? 순재는 사회에서 경제적 지위가 꽤 높은 한의사다. 세상에 어떤 것이든 거침없이 휘두르고 떵떵거리며 살 만한 위치다. 그러나 그는 며느리보다 실력이 못한 한의사다.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얘기다. 골다공증을 피하기 위해서는 무리한 다이어트는 피하고 적절한 운동과 고른 영
양
섭취를 잊지 말자.골밀도 검사 많은 사람들이 골절로 병원을 찾은 뒤에야 골다공증이 있음을 알게 된다. 별다른 증상이 없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은 탓이다. 따라서 급속하게 골밀도가 ... ...
'과학'과 '쇼핑몰'의 환상궁합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로봇선물 ‘라인트레이서’라인트레이서는 적외선을 바닥으로 쏘아 반사되는 빛의
양
을 측정해 스스로 길을 찾아가는 신기한 로봇이다. 전기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는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아이디어 블록선물 ‘로켄복’자신이 창조한 세상을 스스로 움직이는 기분은 어떨까? 로켄복은 ... ...
용암으로 탄소나노튜브 싸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신소재로 불리지만 대량으로 합성하려면 많은 돈이 든다. 그러나 이제 싼 가격에 많은
양
을 만들 수 있는 길이 열렸다.독일 프리츠 하버 연구소의 수 당성 박사팀은 에트나 화산의 용암을 이용해 탄소나노튜브를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국제 화학계 유력지인 ‘안게반테 케미’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