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하얀 침팬지" - 제인구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위대한 동물행동
학자
로서 세계적으로 인정받기 시작합니다.하지만 박사님의 마음 속엔
학자
로서 인정받은 기쁨보다는 침팬지와 자연에 대한 걱정이 늘어갔습니다. 인간의 문명이 발달할수록, 세월이 흘러갈수록 인간의 욕심으로 인해 침팬지들을 비롯한 동물들이 죽어가고 있기 때문이죠. 실제로2 ... ...
“자연을 알면 더 사랑하게 돼요!” 최재천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맙니다. 미국대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동물행동학 교수로 인정받으면서‘젊은과
학자
상’을 받았고 국내에서는 동물행동학을 재미있게 다룬 책들을 쓰면서 과학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정말로 좋아하는 일을 열심히 해서 얻어낸 성과였던 거죠.하지만 교수님이 연구하는 ... ...
원시블랙홀이 폭발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태어나자마자 무더기로 폭발하며 사라졌습니다. 이것이 바로 유명한 천체물리
학자
호킹 박사가 밝혀낸 새로운 이론 중의 하나입니다. 크기가 작은 것부터 사라졌기 때문에 큰 원시 블랙홀들은 아직까지 우주에 남아 있을 수도 있답니다 ... ...
별박사 이태형 별따기 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2세기경 고대 그리스의 히파르코스라는 천문
학자
는 밤하늘에 보이는 별을 관찰하여 그 밝기를 비교했답니다.그래서 가장 밝은 별들을 1등성, 가장 어두운 별들을 6등성으로 나누었습니다. 그 사이에 있는 별은 당연히 2등성, 3등성, 4등성, 5등성 이렇게 나누었지요. 이렇게 별들의 밝기를 다 ... ...
하늘을 감동시킨 과
학자
황우석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가끔씩 연구실을 불쑥 찾아오는 어린 학생들을 마다 않고 직접 만나 생명과
학자
로서의 삶이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해주는것도 다 그런 이유 때문이죠. 교수님 자신이 어린시절 '모든 사람이 잘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꿈을 가지고 생명과학에 헌신한 것처럼 지금의 우리 어린이들도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01)이것은 나중에 논리학·수학기초론·의미론의 동향에 큰 영향을 끼쳤다1931~ 미국의 물리
학자
소립자물리학의 새로운 국면을 개척했다 76년 이 공로로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궤도의 법선방향으로 향한 가속도의 성분 질점이 가속도 운동을 하고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것”이라고 말했다.거울상 분자, 즉 광학 이성질체를 최초로 발견한 19세기 최고의 과
학자
루이 파스퇴르는 “생명의 비대칭은 우주 그 자체의 비대칭을 반영하는 것일지도 모른다”라는 말을 남겼다. L아미노산의 과잉이 정말 약한 상호작용이나 미지의 물리적 과정의 결과로 나타난 현상이라면,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천체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대상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깨달은 사람은 유명한 천문
학자
에드워드 버나드였다. 오늘날 암흑성운은 별의 탄생과 우주의 기원을 밝히는 아주 중요한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말머리성운은 태양계에서 1200광년 가량 떨어져 있으며 부근의 성운을 빛나게 하고 있는 ... ...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잘 자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츠쿠바에 위치한 국립고등과학기술연구소 물리
학자
인 켄지 하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사이언스 11월 19일자에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13년전 탄소나노튜브가 처음 개발된 이래로 탄소나노튜브는 나노테크놀로지의 총아였다. 아주 작은 관모양의 분자들이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할로겐을 검출하는 방법의 하나 러시아의 화
학자
F K 바일슈타인이 고안하여 이렇게 명명되었다구리선을 분젠버너로 가열한 다음 여기에 미량의 시료를 붙여 다시 분젠버너 하부의 산화불꽃[酸化炎]으로 가열하면 청색 또는 청록색의 불꽃반응이 ... ...
이전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