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못했기 때문에 큰 피해를 입게 된 것이다.한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한 지구물리
학자
는 이번 지진으로 인도양 아래 지각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끼워지며 지구의 반경이 작아져, 그 효과로 지구의 자전이 빨라졌고 자전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고 주장했다. 회전하는 물체는 각운동량 보존법칙에 ... ...
메탄비 내리는 오렌지빛 원시지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지구의 생명체는 어떻게 처음 탄생했을까.여러 가설이 있지만 많은 과
학자
들은 질소와 메탄 가스가 풍부한 원시 지구에 번개가 치면서 생명체를 구성하는 ... 나중에 프랑스 천문
학자
카시니가 증명했다. 이번에 토성과 타이탄에 간 우주선의 이름은 이 두 천문
학자
의 이름을 딴 것이다 ... ...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차이를 만드는 것이다.이처럼 유전자가 진화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여러 과
학자
들에 의해 증명됐다. 오늘날 인류는 생명과학의 발전으로 유전자를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있게 됐다. 인류의 유전자 ‘선택’이 진화에 과연 어떤 영향을 줄지 지켜볼 일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세계 과
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
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2003년 처음 열렸고 2004년에는 김 교수를 비롯해 최재천 서울대 교수 등 4명의 과
학자
가 강연자로 나서 청소년들에게 흥미로운 과학의 세계를 소개했다 ... ...
새 산맥지도, 분수계와 산맥을 혼동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너무 많은 것이 아닌가, 한반도의 산맥 구성에서 판구조론이 도외시된 것이 아닌가, 지리
학자
들은 기존 지형형성이론에 너무 집착한 것이 아니가 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면 그것은 충분히 학문적 논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충분한 논의도 없이 분수계와 산맥을 혼동해 계속해서 국민적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있었는데, 오늘날 현미경 시료를 준비할 때도 이 정도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쉽지 않아
학자
들은 매우 놀랐다.전자현미경을 동원해서 정밀하게 시료를 조사하고 레우벤후크의 관찰기록과 대조해 본 결과 그의 관찰이 놀랍도록 정확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10개의 현미경 중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황색 · 적색 · 청록색 등을 띠는 것도 있다철 · 망간 · 니켈을 함유한다1893~1986 미국 생화
학자
헝가리 부다페스트 태생 김나지움을 거쳐 부다페스트 대학 의학부에 진학, 조직학에 흥미를 가지고 항문상피(肛門上皮)를 연구하여 1912년에 최초의 논문으로 발표했다파장이 1~10cm인 극초단파 진동수는 3 ... ...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대한 일관된 관점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솝은 뛰어난 우화작가일지는 몰라도 동물행동
학자
로는 자격미달인가보다. 그렇다면 실제 까마귀의 모습은 어느 쪽에 더 가까울까.2004년 12월 10일자 ‘사이언스’에는 까마귀과 조류의 지능에 관한 최근 수년간의 연구결과를 요약한 논문이 실렸다. 이에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언제 붙인 것일까. 그 동안 우리가 알고 있었던 한반도 산맥체계는 1900년대 초 일본 지질
학자
고토 분지로(小藤文次郞)가 조사한 지질구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현재의 산맥체계는 일제가 한반도의 지하자원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산물이다.고토 분지로는 망아지 네 마리와 여섯 사람을 ... ...
진화론의 고향으로 떠나는 특별한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희귀한 생물이 살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1831년 22세의 젊은 영국 생물
학자
찰스 다윈은 남태평양의 여러 섬을 항해하는 비글호에 올랐습니다. 비글호는 1835년 갈라파고스 제도에 도착했죠. 이곳의 생물들을 유심히 관찰한 다윈은 핀치의 부리 모양이 먹이인 씨앗의 크기나 단단한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