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연구하는 플라스마 과학자 가족이 탄생하는 날을 기대해 본다. 고수의 비법전수 잘
알
려진 길이 아닌 새로운 길을 개척하라. 그곳에 더 많은 기회가 잇다. 특히 공부나 연구를 시작하는 학생은 새로운 분야에서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원래 살던 곳에 놓아 준다.특명! 바다를 구하라!그럼 본격적으로 기름을 없애는 방법을
알
아볼까? 바다를 오염시킨 석유를 없애는 작업을 ‘방제’ 라고 불러. 2007년 허베이스피리트 호 사고 때에는 전세계적으로 쓰이고 있는 방제 기술들이 총동원됐어. 지금부터 어떤 기술이 바다를 원래대로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난 이제 해리포터야”라며 키득거렸다. 어느 나라나 학생들이 말장난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컴퓨터와 연결된 전자칠판 사용 영국에서는 수학 수업에 컴퓨터와 연결된 전자칠판을 사용한다. 전자칠판은 큰 모니터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칠판 위에 그림을 그리고 복사해서 붙일 수도 있다. ... ...
채소일까, 사람일까? 숨바꼭질하는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와~! 여름의 문턱을
알
리는 6월의 과일, 앵두가 탐스럽게 익었어요. 여름에 수확하는 곡식인 밀과 옥수수, 예쁜 색을 뽐내는 복숭아와 청포도도 눈에 띄네요. 풍요로운 여름 ... 세계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궁금해 하는 마음만은 변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당시의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답니다 ... ...
제4게임 짝수를 만들어야 이기는 님 게임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이론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를
알
면 게임은 100전 100승!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 제3게임 수학으로 두는 체스 제4게임 짝수를 만들어야 이기는 님 ... ...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탄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결과물이다. 최근 우리는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의 주목을 끌며 한국인의 우수성을
알
리고 있다. 가까운 미래의 이익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 긴 안목으로 기초과학에서도 꾸준한 투자가 이뤄진다면 각종 수학상과 과학상에서 한국인의 이름을 자주 보게 되지 않을까. 차기 아벨상 수상자가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아이구, 내 정신 좀 봐. 지갑을 어디다 뒀는지 통 생각이 안 나네~?아, 잘 좀 생각해 봐요. 시간 없다니까요.기다려 봐. 늙으면 다 이렇지 뭐 ... 됐을 때는 치매란 천연두처럼 먼 옛날에나 있었던 병에 불과하며, 인류는 인체에서 가장
알
기 어려운 기관인 뇌의 비밀을 꿰뚫고 있을지도 모른다.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학문의 영역까지
알
필요는 없다. 하지만 수많은 식품영양학자들이 연구한 결과를
알
고 있다면 우리들 식탁이 좀더 풍성해질 것이다. 적어도 겨우내 맛없는 김치를 놓고 아쉬워 할 일은 줄어들 테니까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월드컵에 대비해 왔다.음하하! 축구에 이렇게 많은 과학이 숨어 있다는 걸 이제 잘
알
겠지?그럼 왜 축구 선수를 하지 과학자가 되었냐구? 오호호~, 축구 선수들은 전후반 90분 동안 자그마치 11㎞ 정도를 뛰는데, 우린 영 기운이 달려서 말이야. 경기장에서 살아 있는 과학을 보여 주는 멋진 대표팀에게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있고 2명이나 3명인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정보만으론 몇명이 노벨상을 받았는지
알
기 어렵다. 그런데 혹시 4명 이상이 수상한 경우도 있을까? 만약 봤다고 말한다면 그건 거짓말이다. 노벨상은 최대 3명까지만 공동수상자로 선정하기 때문이다.543번 중에 한 명이 수상한 경우가 330번으로 가장 ... ...
이전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