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예상 된다. ▲ 몽당연필 속 흑연을 재활용해 인쇄하는 프린트기.미래 문구의 특징까지 알았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영준이에게 줄 발명품을 만들어 볼까? 영준이가 편하게 쓸 수 있으면서도 안전하고 영준이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기발한 발명품을 만들어 꼭 영준이를 내 남자친구로 만들겠어! ... ...
-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말 거라는 얘기다. “아하, 그런 거였어. 수학이 사라지면 골치 아픈 게 하나 없어질 줄 알았는데 새로운 문제가 잔뜩 생기네.” “수학이 사라져서 오늘 즐거웠니? 오늘 밤이 지나면 넌 수학방해파를 가진 채로 평생을 살 수 있어. 하지만 네가 원래대로 돌아가길 바란다면 오늘 밤이 지나기 전에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생각이 들었다. 임금과 황산사가 산학을 발전시키려고 애쓰며 연월기를 만들려는 이유도 알 것 같았다.황산사에게서 배운 글자들을 혼자의 힘으로 읽을 수 있게 되었을 무렵, 지오는 산학 책 한 귀퉁이에서 이런 문장을 발견했다.(夫天之理, 始於數也. 故以數可以造和世上, 豫見未來.)하늘의 이치는 ... ...
- 채권도 보험 든다수학동아 l2010년 10호
- 크기 때문에 신용스프레드가 매우 크단다. 이처럼 신용스프레드로도 회사의 신용을 알 수 있지.신용평가회사는 일반회사의 부도위험을 평가해 등급을 부여합니다. 두 회사의 신용등급이 같다면 신용스프레드도 동일하게 적용받습니다. 예를 들어 AAA등급은 부도위험이 거의 없는 회사고, B등급은 ...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친구와 공원에 날아다니는 나비를 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수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이처럼 함수는 학교에서만 배울 수 있는 단순한 학문이 아닙니다. 실생활 곳곳에서 발견되는 어떤 둘 사이의 관계가 모두 함수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함수는 고대 바빌로니아표(곱셈표, 역수표, ... ...
- 도로 해부하기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곡선 구간에 나무를 심어 길이 굽어 있다는 것을 멀리서부터 알 수 있게 한다.도로 잘라 보기갑자기 내린 비로 골목길 여기저기에 작은 웅덩이가 생겼다. 신기하게도 큰 도로로 나가니 물웅덩이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평평하게만 보이는 도로에 무슨 비밀이라도 숨겨진 ...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봐. 이제 겨우 첫 돌을 맞이한 수학동아를 모르는 친구들이 많았는데, 수학체험전을 통해 알게 되니 참 다행이었어. 매스투어올레 길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요즘 올레 길 걷기는 제주도 여행의 필수코스야. 그런데 올레 길을 걸으며 수학 공부를 할 수 있다니! 이번 제주수학축제에서 야심차게 ... ...
- 문화재 사랑은 느티나무 심기부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고려시대 건물 기둥의 55%, 조선시대 건물 기둥의 21%가 느티나무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어요. 이 수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건축 재료인 소나무 못지 않게 높은 거예요. 즉, 문화재를 보수하려면 느티나무가 꼭 필요하다는 뜻이랍니다.연구팀은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기둥으로 ... ...
- 누가 피터팬의 그림자를 가져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부딪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림자가 생기는 거랍니다. *빛을 이루는 작은 알갱이 : ‘광자’라고 불러요.이런 세 가지 사실에 비추어 볼 때, 피터 팬은 절대로 그림자를 떼어 낼 수 없었을 거예요. 왜냐하면 피터팬이 있는 곳에는 항상 빛이 있거든요. 만약에 피터팬이 동화처럼 ... ...
- Part 3.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말이야.Re: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한글로 만들 수 있는 글자 개수와 소리 개수를 알고 나니까 한글은 정말 세계적인 문자로도 손색이 없는 것 같아. 또 컴퓨터와도 잘 어울리는 문자여서 미래형 문자인 것 같기도 하고 말이야. 바우바우시에서 한글을 문자로 쓰게 된 것도 한글의 이런 장점 ... ...
이전3923933943953963973983994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