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규정 타석을 만족시키는 타자 수가 연간 30~40명에 불과해요.”“생각보다 ‘빅데이터’가 아니네요?”지난 3월 10일 토요일 오전 서울 신사동의 한 옥탑방. 이곳에 모인 12명의 사람들이 의외라는 표정을 지었다. 엑셀로 그린 그래프를 살펴보던 중이었다.“그래도 자료를 여러 사람이 나눠서 검증 ...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α가 유독 관심 받는 이유는?그런데 물리상수는 왜 이런 값을 갖는 걸까. 이 물음은 현대 물리학자들에게 아주 흥미로운 문제다. 그러나 그 누구도 풀어내지 못했다. 단지 물리상수의 값이 조금만 달랐어도 우주에는 생명의 탄생과 같은 복잡한 현상이 생겨나지 못했을 거라는 추측만 할 뿐이다. 우 ...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꽃샘추위가 한창이던 3월 12일 오후, 쌀쌀한 바람에 외투를 여미며 외진 곳에 덩그러니 놓여있는 건물 안으로 들어섰다.“쿵쿵짝짝, 쿵쿵짝짝…”건물로 들어서자 누군가 드럼을 치고 있는 것처럼 일정한 박자 음이 계속해서 들려왔다. 리듬을 맞추며 발걸음을 옮기려는데 이철현 한국기초과학지원 ... ...
- 천문학 대 천체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천문학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는 다른 기초과학보다 상대적으로 적고, 연구 활동도 국제 협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천문학자는 해외여행을 자주 한다. 나도 한참 에너지가 충만할 때는, 1년 중 약 두 달은 해외에서 생활하곤 했으니 비행기 마일리지 올라가는 재미로 축나는 건강에 대한 염 ... ...
- 우주망원경 총정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흔히 우주를 텅 빈 암흑의 공간이라고 부른다. 보이는 것이라고는 가까운 태양계 내 천체를 빼면 아주 멀리 떨어진 별이나 외부은하에서 오는 빛이다. 그것도 우리 눈에는 기껏해야 작은 점으로만 보일 정도로 약하다. 이런 약한 빛에 의존해 먼 천체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은 어떻게든 빛을 가로막 ... ...
-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3만일 지구에 단 하나의 섬만 남겨야 한다면? 한국인이야 제주도가 첫손가락일 터이고(개인적으로는 홍도를 남기고 싶다) 신혼부부라면 낭만적인 몰디브나 보라카이를 떠올릴 것이다. 만일 과학자라면? 독자 여러분의 머리에 떠오르는 바로 그 섬, 갈라파고스가 아마도 가장 많은 표를 받을 것이다( ... ...
- 빙하시대가 주선한 고대 인류 만남의 장소, ‘레퓨지아’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영국 본머스대 연구팀은 지구의 기후 변화가 인류의 진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를 떠날 당시의 빙하가 환경 조건때문에 각지에 흩어져 있던 다양한 고대 인류들이 '레퓨지아'라고 부르는 곳에서 만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덕분에 일어난 진화적 변화로 인간 ... ...
- [4월] 이슈 키워드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우주 개발 위성 vs 장거리 미사일 발사북한이 김일성 주석 100회 생일에 맞춰 4월 12~16일 사이 ‘광명성 3호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혀 국제사회에 파장을 일으켰다. 광명성 3호 발사에 국제 사회가 술렁이는 까닭은 위성 발사 기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바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 때 ... ...
- 수능 과학탐구를 정복하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수학능력시험에서 과학탐구의 위력2012학년도 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부터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각 과목 I, II 전체 8개 과목에서 최대 세 과목을 선택할 수 있었다. 2014학년도 수능(현재 고2)부터는 두 과목으로 축소된다. 이렇게 과학과목이 축소되기 때문에 많은 수험생들은 과학탐구영역(이 ...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피타고라스(Pythagoras, ca. 570~498 BC)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수학자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수학을 비롯해 소리를 연구하는 음향학으로도 유명하답니다.그 중 ‘망치의 전설’은 꽤 유명하죠. 두 망치의 무게비가 2:1이면 ‘도’에서 ‘도’ 사이에 해당하는 옥타브 간격의 음정을 만들고, 무 ... ...
이전389390391392393394395396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