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 세는 똑똑한 비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용띠해를 맞아 나이는 한 살 늘었지만 주름살은 열 개나 늘어난 닥터 그랜마에요. 주름살과 달리 갈수록 기억력은 떨어지고 있지요. 그래서기억력이 나빠져서 ‘새대가리’라고 놀림을 당할까봐 정말 걱정이에요. 그런데 최근에 비둘기가 똑똑하다는 소문을 들었어요. 비둘기가 똑똑하다면 이들을 ...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콜록콜록~! 겨울은 감기의 계절이에요. 독감을 일으키는 범인은 바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지구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외에도 수많은 바이러스들이 있답니다. 그런데 영국의 한 예술가가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바이러스를 유리 공예로 만들었다고 해요. 어떤 모습일지 ... ...
- 우주에 흔한 게 행성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태양계 밖에서 지구와 닮은 행성을 찾았다는 소식은 언제나 큰 화제가 된다. 지구와 닮은 행성은 물론 행성을 찾는 일조차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실은 행성이 흔한 존재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현재 태양계 밖에서 찾은 행성의 수는 700개가 넘는다. 이들은 대부분 두 가지 방법으로 찾아냈 ... ...
- [2월] 이슈 키워드과학동아 l2012년 02호
- keyword 1 포보스-그룬트 잉훠-1호 수장된 화성 탐사선1월 16일(현지시각 15일) 러시아의 화성탐사선 ‘포보스-그룬트(Phobos-Grunt)’가 태평양에 추락했다. 추락지점은 아르헨티나 서쪽 해안에서 1250km 떨어진 곳으로 인명피해는 없었다. 중국 최초의 화성탐사선 ‘잉훠(螢火)-1호’도 포보스-그룬트와 함 ... ...
- 인공지구야 돌아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부우우웅~. 저것 봐,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든 황동색의 구가 빙글빙글 회전하기 시작했어. 아직 속이 빈 채라고 해도 지름이 3m나 되다보니 꽤나 시끄러운걸. 그냥 겉으로 보이는 게 다가 아니야. 저 안에는 지름 1m의 동심구가 하나 더 들어 있어. 연구팀은 이번 달까지 바깥쪽 구와 안쪽 구 사이를 1 ... ...
-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2호
- 3저자 미샤 앵그리스트는 이력이 복잡하다. 유전학자, 의학자, 과학정책학자, 소설가, 교수. 그리고 지난 2007년 여기에 한 가지가 추가됐다. 바로 개인게놈프로젝트의 네 번째 피실험자. 2003년 최초의 인간게놈이 해독돼 공개된 뒤 여러 유명인들이 자신의 게놈을 분석해 공개했다. 첫 번째 게놈 분석 ...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감마선폭발(GRB)은 빅뱅 이후 우주에서 일어나는 가장 강력한 폭발로 태양이 수십 억 년에 걸쳐 방출하는 에너지를 단지 수 초에서 수십 분 동안에 분출해 버리는 우주 최대의 섬광 현상이다. 감마선폭발은 초기우주 연구를 비롯해 암흑에너지, 암흑물질 규 ... ...
- 민간우주선 ‘드래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드래곤은 스페이스X사가 개발한 민간 우주선이다. 구형 로켓처럼 한 번 비행 후 버리는 것이 아니라 우주왕복선처럼 재사용이 가능하다. 2010년 12월 첫 무인우주비행에 성공했다.드래곤은 7명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으며, 국제우주정거장으로 6톤의 화물을 올려 보내고, 3톤의 화물을 지구로 내릴 수 ...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아름다운 베르네~ 맑은 시냇물이 넘쳐흐르네!새빨간 알핀로제스, 이슬 먹고 피어 있는 곳~다스 오버랜야 오버랜~ 베르네 산골 아름답구나!다스 오버랜야 오버랜~ 나의사랑 베르네~ 노래에 나오는 베르네는 스위스의 수도 베른이다. 스위스는 위에는 독일, 아래에는 이탈리아와 리히텐슈타인, 서쪽 ... ...
- 기후변화 시대 생활을 디자인한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하늘과 땅이 만나는 수문학수문학은 하늘과 땅이 만나는 학문이다. 물의 순환을 연구하기 때문이다. 땅 위 또는 땅 속을 흐르던 물이 바다로 가고, 증발해 하늘로 올라간 뒤 다시 비가 돼 내려온다. 이 과정에서 물은 인간에게 자원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수문학을 달리 말하면 수자원을 연구하는 ... ...
이전3933943953963973983994004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