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친구와 함께 공부하는 힘을 키운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학교에 들어서자 겨울방학인데도 교정에서 뭔가를 열심히 적고 있는 학생들이 눈에 들어왔다. 뭘 하고 있는지 물어보니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단다.“저희는 지구과학사반인데요. 학교에 있는 나무랑 야생화 배치를 조사하고 생태지도를 만들고 있어요.”과학 관련 동아리는 ‘화학마루’ ‘지구 ... ...
- 수학촌의 단짝친구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젓가락 한 쌍, 신발 한 켤레, 치약-칫솔, 남자-여자…. 짝이 없으면 존재감이 약해지는 것들이 많아. 이처럼 짝이라는 것은 꽤 소중한 존재야. 이번 달에 살펴볼 숫자 2는 가장 작은 짝수라는 점에서 짝이라는 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짝수의 대표 주자인 2에 대한 여행을 떠나 보자. 제1코스 단 ... ...
- 반짝반짝 작은 별~♬, 케플러의 별 만들기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와~! 아빠, 이렇게 큰 별자리 지구본은 어디서 구하셨어요?”“하나랑 두리랑 겨울 별자리 보려고 이 아빠가 큰 맘 먹고 준비했지. 하하!망원경으로 하늘을 보렴. 저기 오리온자리가 있구나!”“저런 별이 제 방에도 있으면 좋겠어요.”“별을 따올 수는 없지만, 방법은 있지! 예쁜 별을 만들어 볼 ...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과학동아 l2012년 02호
- 2008년 3월 19일 우연히 밤하늘을 바라본 사람들 가운데 일부는 평생 한 번 뿐일지 모르는 색다른 경험을 했을 것이다. 무려 74억 년을 여행해 마침내 지구에 도달한 빛을 맨 눈으로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74억 년 전이면 태양계가 존재하기도 전이다.빛공해가 없는 외진 곳 ‘별이 쏟아지는’ 밤하늘 ... ...
- 아리랑2호의 세계 일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본다면, 그것도 도시 구석구석 본다면 어떤 기분일까.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2호는 2006년 7월 28일 러시아에서 발사된 뒤 지금까지 지구를 돌며 사진을 찍고 있다. 가로세로 1m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어 해상도가 높다. 위성사진은 국토관리, 자원탐사, 농업, 해양 감시 등 다양한 ... ...
- 페름기 대멸종 시베리아 화산 때문?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약 2억 5000만 년 전 페름기 말에 지구 생명체 다수가 멸종한 사건의 원인이 시베리아 지역의 대규모 화산 폭발이라는 추정이 서서히 입증되고 있다. 당시 화산 폭발로 배출됐던 물질의 종류와 양이 미국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기 때문이다.미국 카네기연구소와 메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시베 ... ...
- 삼한사온은 신기루?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올겨울 강추위가 유난합니다. 열흘간 강추위가 지속됐지만 한파는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겨울 날씨의 대표적인 ‘삼한사온(三寒四溫)’. 더 이상 보기 힘들어진 걸까요. 한번 한파가 찾아오면 일주일 이상 지속되면서 삼한사온이란 말이 무색해졌습니다.” -2011년 1월 ...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순하게 보이는 첫 인상. 문을 열고 들어오는 모습이 조심스럽다. P학생은 이제 곧 3학년이 된다. 2학년 때까지는 전체 학생 271명 중 전교 1, 2등을 해왔다.“성실하구나. 문과와 이과 중에 뭘 선택하고 싶어?”“저는 과학이 좋아요. 그래서 이과에 가고 싶어요.”“이과를 가고 싶다면 수학이나 과학 ... ...
- Fly High! 날아올라 볼까?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새의 날개를 모방한 장치로 하늘을 날려고 한 생각은 천재 예술가이자 과학자인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1452~1519)도 했답니다. 다빈치는 새처럼 하면 날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1500년경에는 새를 해부해서 그 날개를 연구했죠. 그리고 처럼 새의 날개 뼈대와 비슷한 장치를 설계했답 ...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용용~, 죽겠지! 이 꼬맹아!”오늘도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했어. 난 키가 작고 몸도 빼빼 말라서 친구들이 날 만만하게 보는 것 같아. 날 그만 좀 놀리라고 말하고 싶은데, 그럴 용기도 없어. 힘 없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 마음은 무거운데 갑자기 하늘이 어두워지고 천둥번개까지 치기 시작하는 거 ... ...
이전3943953963973983994004014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