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첨단과학에 이용되는 인공보석과학동아 l1993년 07호
- 편광자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벌크 결정을 사용한 광아이소레이터의 원리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편광자를 통과한 ${P}_{1}$이 직선 편광의 빛을 패러데이 소자에 의해 45도 편광면이 회전하면서 편광자 ${P}_{2}$를 통과한다. 반면 ${P}_{2}$를 통과한 반사광은 진행 방향이 반 평행되기 때문에 ... ...
- 산성비가 몰려오고 있다과학동아 l1993년 07호
- NAPAP )에서는 빗물의 평균 pH 5.0 이하의 비를 산성비라고 정의하고 있다.이러한 산성비는 (그림1)과 같이 pH의 정도에 따라 김치 포도 식초산 레몬주스 등의 산성도에 해당된다. 산성비는 왜 생기는가인간의 여러가지 활동에 의해 각종 공장 화력발전소 자동차는 물론 가정에서 석유나 석탄 등의 ... ...
- PC통신 공개자료실과학동아 l1993년 07호
- 지원하고, 화면상에서는 비트 맵 형식을 지원한다.예쁜 아이콘과 함께 외부에서 그린 그림을 본문에 불러 올 수 있고 자판 배열을 화면상에 나타낼 수도 있으며, 화면 상에 출력된 자판을 입력할 때도 바로 마우스로 해당 버튼을 누르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조판 기능은 머리말 꼬리말 목차 ... ...
- 화학- 같은 원자끼리의 결합 어떻게 가능하가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수 있다. 산소원자는 결합이라는 매우 정밀한 관계에 의해 각 수소원자에 연결돼 있다(그림1). 물방울로부터 물분자를 분리한다면 아마도 공기속으로 증발해버릴 것이다. 물방울로부터 해방된 물분자는 아주 빠른 속도로 돈다. 1초 동안에도 수만, 수억번을 돈다. 그러나 장난감 팽이와는 달리 ...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과학동아 l1993년 06호
- 굴절하여 달이 그늘 속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측자에게 월식에 의한 달의 그림자는 불그스름하게 보인다. 빛과 밝기의의 관측에는 보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서 그 느낌이 다르겠지만 지구 대기안에 있는 미립자(微粒子)의 양에 따라서 빛과 밝기가 자꾸 변한다. 붉은 표면과 밝은 표면이 ... ...
- 물리- 왜 비행기에서는 안 생기고 우주선에서는 생기나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질량에 관계없이 같이 떨어지기 때문에 어느 것이 어느 것을 누를 수가 없는 것이다(그림1).따라서 줄이 끊어진 엘리베이터의 속에 있는 사람은 그 순간 중력이 없어진 것과 완전히 같은 상태, 즉 무중력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높은 건물에서 엘리베이터가 낙하한다고 해도 10초 이상 ... ...
- 지구과학- 도구를 만드는 재료에서 핵연료까지과학동아 l1993년 06호
- 대하여 다루는 학문 영역을 광물학이라고 하는데, 광물학의 자연과학에서의 위치를 보면(그림2)와 같다.광물은 암석을 이루고 있는 단위로서 광물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석(石)으로 부르기로 되어 있으나 석영 운모 등과 같이 예외적인 것도 많다. 광물의 집합체인 암석은 ○○암(岩)으로 ... ...
- 보름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여러장 복사하여 시간별로 달이 지구그림자에 먹혀 가는 과정과, 식이 끝나가면서 그림자로부터 탈출하는 과정을 기록하면 훌륭한 기록이 될 수 있다. 물론 망원경을 이용하여 좀 더 정확한 식의 진행시각을 기록하는 것은 말할 나위 없이 중요하다.사진촬영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누어 ... ...
- 메모리,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채택하고 리얼모드에서 운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한, 640kb이상의 메모리는 그림의 떡일 뿐인 것이다.물론 위에서 말한 램드라이브나, 캐시 등의 용도로 기본메모리 위의 영역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일찍부터 개발됐지만 메모리의 주된 용도는 워드프로세서니 데이터베이스니 하는 응용 ...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과학동아 l1993년 06호
- 것에 '난초'와 붓꽃'이 있다. 이 잘못은 전적으로 화투 때문이다. 왜냐하면 화투에 붓꽃 그림을 그려놓고 난초라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만든 일본에서는 분명히 아야메(붓꽃의 일본 이름)라고 하는데, 이것이 현해탄을 건너오면서 난초로 오역(誤譯)된 것 같다.우리나라 사람들은 옛날부터 ... ...
이전3903913923933943953963973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