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물- 3억개의 폐포 통해 몸 곳곳에 산소공급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코 기관 폐로 구성돼 있으며 기관은 두 가닥의 기관지로 나뉘어 좌우 폐로 들어간다(그림1).오른쪽 폐는 3개의 폐엽, 왼쪽은 2개의 폐엽으로 되어 있으며 가는 기관지의 끝에는 포도송이처럼 생긴 폐포가 있다. 폐포의 총수는 약 3억개에 달하며 각 폐포의 지름은 1백~2백㎛정도다. 그리고 폐포의 총 ... ...
- 정확한 초점, 선명한 사진과학동아 l1993년 06호
- 모두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보겠다. 이 렌즈는 여러분이 직접 제작할 수도 있다.(그림)에서 a에서 b까지의 길이는 각 카메라에서 렌즈를 떼고 T링를 끼운 상태에서 T링에서 카메라의 필름면까지의 거리다. 예를 들면 니콘 카메라의 경우는 53.95mm가 된다. 나사선은 T링에 나 있는 나사선과 ... ...
- 허공에서 북과 꽹과리치는 가상현실의 세계과학동아 l1993년 06호
- 섞이게 되는데, 이를 빠른 시간안에 자신의 얼굴로 짜맞추는 게임을 비롯, 프랙탈 원리를 그림으로 설명하는 '신비한 프랙탈' 등이 관람객들의 흥미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전시홀의 하이라이트는 가상현실감(virtual reality). 기존의 가상현심감이 머리에 헬멧을 쓰고 손에는 장갑을 쓰는 형태라면, 이 ... ...
- 하드 디스크를 넓게 쓸 수 있는 압축 프로그램의 모든 것과학동아 l1993년 06호
- 그다지 늘어나지 않고 있다. 그래픽 소프트웨어가 일반화되면서 수메가 바이트에 달하는 그림도 흔히 볼 수 있게 되었으며 많은 소프트웨어들은 버전 업을 통해 몇배씩 크기가 커지고 있다.1983년 플로피디스크 두 장으로 출발한 로터스 1-2-3는 10년이 지난 지금 5MB에 달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 ...
- 생물- 하루 16톤의 혈액 펌프질하는 비결은?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오면 심실은 다시 1백㎝/초의 속도로 수축한다.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증폭하여 기록한 그림을 심전도(electrocardiogram;ECG)라 하는데, 이 분석법은 심장 상태의 측정이나 손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진단하는데 이용된다.심장 근처에 청진기를 대보면 심장이 뛰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이를 심음이라 ... ...
- 스펙트럼으로 본 악기의 소리과학동아 l1993년 05호
- 높으면 고음으로 들린다. 인간의 귀로 감지 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은 20~2만Hz다. 다음 (그림 1)은 종류별 악기가 발생시킬 수 있는 주파수대역이다.소리의 크기는 음압의 크기로 나타내기도 하지만 소리의 세기(Intensity), 또는 음향파워로도 나타낸다. 음압의 크기의 최소값은 2x${10}^{-5}$/㎡이다. 그러나 ... ...
- 위도따라 끊임없이 독특한 기류운동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있는 것이라고 믿어지는 양이다. 나머지 세 개의 선을 합산하면 이 실선이 된다. 이 그림에서 흥미있는 것은 해양이 극방향의 열수송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저위도에서 그렇다. 바다중에서 고온의 해수가 극으로, 저온의 해수가 적도를 향해서 흐르는데, 이를 평균해 보면 열의 ...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과학동아 l1993년 05호
- 등을 이용해 식각(蝕刻)함으로써 완료된다. 이는 약물에 의한 부식을 이용하여 금속에 그림을 그리는 식각 판화를 만드는 과정과 비슷하다. 앞에서 소개한 마이크로급 극소형 모터나 기어, 베어링 등의 획기적인 개발이나 제작도 모두 이러한 공정을 답습한 것이다. 쉽게 말하면 실리콘 위의 ... ...
- 한국조류보호협회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아는 사람은 드물다. 이 새는 국내 발행 조류도감은 물론 일본이 발간한 조류도감에도 그림으로만 소개돼 있을 만큼 희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희귀조가 지난 3월 한국조류보호협회(회장 김성만)에 의해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민통선에서 발견됐다."1927년 서울에서 한 마리가 발견된 이후 6 ... ...
- 화학- 이온과 전기의 알쏭달쏭한 관계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음이온 사이의 전기적 인력에 따라 결합하면 우리가 경험하는 물질이 되는 것이다(그림1). 이온들이 결정하는 여러가지 모양이온들이 쌓이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공통점은 제멋대로가 아닌 규칙성을 띤다는 것이다. 양이온 다음에 음이온, 그리고 그 다음에 양이온과 같은 순서로 ... ...
이전391392393394395396397398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