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d라이브러리
"
순간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행위예술' 환상의 개기일식 3분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우주의 행위 예술'은 길지 않았다. 3분의 예술 종료를 알리는 다이아몬드가 발생하는
순간
또한번의 탄성이 울러 퍼졌다. 1초도 못되는 다이아몬드 링(diamond ring)이 생김과 거의 동시에 주위가 밝아지면서 금방 사물의 그림자가 생긴다. 그리고 모든 것이 끝나버렸다. 살아온 짧은 인생에서 3분이 ... ...
1 IQ, 머리 좋고 나쁨의 절대 기준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지능이다.따라서 지능에는 직감이라든가
순간
적으로 마음에 떠오르는 판단력에서부터
순간
적으로는 알 수가 없어도 오랜 숙고 끝에 겨우 어떠한 판단에 도달하는 마음의 작용까지가 모두 포함된다.결국 인간의 정신에 관한 연구는 구름잡는 일과도 같다. 사람의 성격에 관한 연구를 예로 들어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아주 먼 과거에 일어난 일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상 우주론에서처럼 물질생성이 지금 이
순간
에도 일어난다면 불합리하고, 우리가 직접 들여다 볼 수 없는 아득한 옛날 일이면 괜찮다고 할 수 있을까? 정상우주론에서는 지금 현재도 우주에 양자역학적인 기운이 퍼져 있고, 거시적인 규모에 기운이 ... ...
스포츠의 절정- 기록단축 비결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과정) 근육은 마라톤과 같이 지구력을 요하는 운동에 필수적이다.반면 빠른 연축근육은
순간
적으로 폭발적인 힘을 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역도나 단거리 경주와 같은 운동에 불가결하다. 에릭슨 박사에 따르면 근육섬유는 운동이 요구하는 바에 따라 빠른 연축근에서 느린 연축근으로 바뀔 수 있다 ... ...
2 태초 초고밀도의 한점-대폭발 급팽창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이는 마치 우리가 지구상에서 북쪽으로 북쪽으로 계속 올라가 마침내 북극에 도달하는
순간
북쪽 방향이 사라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북극에 서 있는 사람이 어느 방향으로 넘어져도 남쪽인 것처럼 시간의 시작점에서는 오로지 미래의 방향만이 존재할 뿐이다.이러한 태초가 지금으로부터 얼마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점성이 높은 산성용암과 화산쇄설암은 폭발성이 크고 고온의 열운을 형성하는데, 폭발의
순간
을 거의 예측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백두산은 언제 다시 대분출을 할 것인가. 분출한다면 어떤 형태가 될 것인가. 무엇보다 백두산 지역의 화산지질 지형변화 지진관측 등에 대한 종합적 연구가 ... ...
컴퓨서브 전문포럼 5백여개 누구나 정보교환 손쉽게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기사보유기간을 결정하면 각각의 뉴스와이어가 컴퓨서브 호스트에 기사를 전송하는
순간
에 자신의 사서함(여기에서는 폴더라 한다)에 자동으로 저장해준다.특징은 뉴스제공자들이 시간대별로 기사를 전송하기에 속보뉴스를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사태의 변화를 예민하게 관찰할 수 있다는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에너지 보존법칙도
순간
적에 깨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바로 이 현상 때문에
순간
적이나마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너지=0)가 그 자체로 유한한 에너지를 갖는 물질 상태로 바뀔 수 있는 물리적 근거를 제시해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공(眞空)의 좀더 자세한 정의란 존재(存在)와 무(無:nothing)의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열어서 그 표피를 손에 수없이 많이 달려있는 미세한 장치로 주사(走査)한다. 주사하는
순간
마다 뇌의 신경세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가 기록된다.로봇의사는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뇌 조직의 각 층이 보여주는 행동을 본뜬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이 프로그램은 즉시 당신 옆의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아직 80% 정도에 머물고 있다. 이것은 대기 순환이 전지구적으로 일어나는 것이어서 어떤
순간
의 전지구적인 대기 순환의 모습을 밝히는 것이 어렵기 때문.그러나 과학 기술이 발달되고 일기 예보에 관심을 갖는 젊은 학도들이 많이 나타난다면 일기 예보의 적중률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 ...
이전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