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날로 늘어나는 자력선치료기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최근 1백년 간에는 약 5%씩 감소했다고 한다. 이러한 지자기의 변동은 지구상에 살고 있는
인류
의 삶에 무시할 수 없는 환경변화이다.사람의 몸에도 수볼트의 미약한 전류와 함께 ${10}^{-4}$~${10}^{-7}$가우스의 미세한 자기가 분포한다. 이는 주로 혈액과 근육, 피부에 흐르는 전하나 이온에 의한 것으로 ... ...
시간강사 춥고 배고프지만 양지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한가지 예를 들어, 많은 학생들이 현대과학은
인류
의 가장 큰 해악인 핵문제 공해문제의 주역이 아니냐고 묻는다. 어떤학생은 과학기술의 발전이 비인간화, 인간의 소외를 필연적으로 낳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럴 때마다 나는 이들에게 과학과 그것을 ... ...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하나의 가공적인 이론의 상태를 벗어날 수 없었다.큰 지진이 일어날 때마다 우리
인류
는 실로 어려운 재난을 겪는다. 하지만 그 반면에 우리는 지구내부의 구조와 거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하여 더욱 많은 것을 알게 된다. 이것은 참으로 이상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 ...
미국AT&T, 수학의 새 해석법으로 특허 받아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다른 나라에도 같은 특허를 출원했다.지금까지는 수학적 해석법이나 과학적 이론은
인류
공통의 재산으로서 특허대상이 되지않는 것이 국제적인 관례였기 때문에 이 특허출원은 국제적 지적소유권이라는 관점에서도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미국이 개발한 이론이나 기술을 ... ...
과학기술 선진국으로 한발짝 가까이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남극에서 왔다. 2월 17일 남극대륙 킹 조지섬에는 문을 연 우리의 과학기지 '세종기지'는 '
인류
마지막의 자원보고'인 남극의 해양생물과 극지공학 그리고 지구물리학분야 연구에 들어 갔다. 세계에서 18번째로 개설된 세종기지는 순수한 우리기술과 장비를 이용하여 막대한 자금과 복합적인 첨단기술 ... ...
예술의 경지에 이른 현대의 도청기술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의미는 잘못되면 수천 수만의 목숨이 달아나고 사소한 실수로 버튼 하나 잘못 눌러져 전
인류
가 다함께 핵의 제물로 사라질지 모른다는 냉혹한 현실을 담고 있다.전자기술을 사용한 현대의 전자전은 평상시에도 벌어지고 있다. 지구상공을 누비는 항공기 지상기지 선박은 모두 전자전쟁에 참여하고 ... ...
양과 질에서 형편없는 한국의 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을 강조하지 않더라도 과학관이나 박물관의 중요성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고 하겠다.
인류
가 지금까지 획득해온 지식을 한곳에 모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당장에 필요한 과학교육의 장으로서도 그 필요성이 절실하기 때문이다.그러나 우리나라의 과학관이나 박물관 특히 과학관의 ... ...
미·소보다 강력한 원자로 발사계획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우려되고 있는판에 이런 위험을 가중시킬 계획을 두 나라가 추진하고 있다는것은
인류
의 운명에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게 하는 것이다.원자로는 인공위성이나 우주선의 동력으로 필요하다.현재 스타워즈와 관련된 것만도 수백개의 원자로가 추가로 필요하다. 여기에다 순수한 우주탐험을 위해서 또 ... ...
흙건축을 되살려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인류
가 최초로 건설한 마천루의 소재가 흙이었음을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될것인가.
인류
의 3분의 1 이상이 아직도 흙집에서 거주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다시 말해서 일류는 1만년 이상을 흑집에서 살아온 반면에 지금 우리들이 유일한 건축자재로 생각하고 있는 시멘트 철골 알미늄 기타 ... ...
라보아제의 죽음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해였다. 동시에 그 해는 빠리 시민들이 바스티유감옥을 습격하고 왕정을 붕괴시킴으로써
인류
역사상 자유민주주의의 첫발을 내딛은 프랑스혁명이 발발한 해이기도 했다.아카데미의 과학자들은 처음에 프랑스혁명이라는 역사적 시건에 대해 별로 놀라운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라보아제를 비롯한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