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자산업이 미래를 좌우한다.과학동아 l1988년 12호
- 있는 것은 바로 이같은 이유로 유용한 식물유전자원이 사라지기 전에 수집, 보존하여 인류에 영원히 이용되도록 하자는 것이다.최근 유전자원과 육종기술의 발달로 ${F}_{1}$(잡종제1세대)품종이 많은 작물에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F}_{1}$ 당대에만 수량성이나 기타 특성이 우수할 뿐 그 다음대에서는 ... ...
-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사나이 유리 로마넨코 나의 우주생활 326일과학동아 l1988년 11호
- "화성탐사는 소련 한나라의 힘만으로는 되지 않습니다. 국제협력으로라야만 화성에 인류를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소련이 우주에 장기적으로 우주비행사를 체재시키면서 우주에서의 생활방법을 살피고 있는 것은 바로 다른 행성을 탐험하기 위한 수단을 개발하려는 것이다. 우연히도 로마넨코는 ... ...
- 유전공학 뜻밖의 재난가져올지도과학동아 l1988년 11호
- 감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없다.하지만 이러한 위험이 따른다 할지라도 인류가 얻을 수 있는 이익과 비교할 때, 그 위험성은 상당히 불확실한 것이기 때문에 결코 생명공학에 대한 연구는 포기되어질 수 없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비록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한 생물적 위험이 현상태에서는 ... ...
- 아르헨티나의 인류학자들 이빨의 유전정보로 100% 신원확인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아르헨티나의 악랄한 독재정권하에서 '하룻밤 사이에 사라진 사람들'의 신원확인 작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지난 1976~1982년사이에 증발된 사람들 시 ... 관심을 가질뿐 애태우는 유족들의 마음에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한다.그래서 인류학자들은 몇번이나 당국에 항의하기도 했다 ... ...
- 타임-라이프사가 펴낸 환상의 세계과학동아 l1988년 11호
- 미켈란제로, 고야 등의 작품도 곁들여 있다.이 책은 읽고 보는 즐거움을 선사하는 동시에 인류의 오랜 전통 각국의 독특한 민속을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비 영어권 독자들에게는 영어 공부에도 도움이 될 듯. 서술이 비교적 쉬워 중·고생에 적합 ... ...
- '88노벨과학상 -업적과 프로필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참여했다. 특히 길항제(antagonist)와 차단제를 멋지게 활용해 '문지기를 속이는데' 성공, 인류의 삶의 연장을 도왔던 것이다.물리학상 중성미자의 정체를 밝혀 레온 레더만, 잭 슈타인버거, 멜빈 슈발츠일초동안 우리 몸을 1백억번 때리는 중성미자. 수상자들은 '두 종류의 중성미자'라는 실험을 ... ...
- 하나의 신약이 나오기까지 0.01%의 가능성을 찾는 일과학동아 l1988년 10호
- 모습을 곧 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야심에 찬 젊은이여! 오라. 약의 세계로! 그리하여 인류의 질병퇴치와 건강증진에 기여할 신약을 연구하는 보람에 살아보자.아직 미흡한 '국내 최초'조금 지난 얘기지만 국내의 한 제약회사(제일제당)에서 생산하는 간염백신 '헤팍신 B'가 신약으로 선정되었다고 ... ...
- 태양계에서는 지금도 생명의 씨가 자라고 있다과학동아 l1988년 10호
- 어느 곳에서는 지금 진행되고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 이런 가능성이 많고 또 보다 쉽게 인류가 접근할 수 있는 곳으로는 혜성이나 작은 행성들, 화성의 움푹 패인곳, 토성의 달인 '타이탄'의 대기속, 목성의 별인 '유로파'의 얼어붙은 표면 등이 꼽히고 있다.현재 진행되고 있는 우주탐사의 주된 ... ...
- 생활속에 파고드는 바이오세라믹스과학동아 l1988년 10호
- 원적외선은 원리규명보다는 생활에의 응용이 훨씬 앞섰다고 볼 수 있다. 돌구이와 같이 인류역사가 시작되면서 원적외선을 활용했다는 의미에서도 그러하고 최근에까지 수많은 응용제품이 나오면서도 그 원리나 효능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신비의 빛' '생명의 빛'등으로 불리우는 것을 봐도 ... ...
- 홍일점의 외로움은 견뎌내며과학동아 l1988년 10호
- 만한 답변을 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나는 어릴 때부터 유명한 과학자가 되겠다거나 인류에 기여할만한 큰 업적을 남기겠다는 거창한 이상을 가진 적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내가 공대를 동경하게 된 것은 중학교 1학년 때 였다. 그 때 접한 수학과 물상이 내게 굉장한 흥미를 주었다. 물론 다른 ... ...
이전3923933943953963973983994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