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축
확립
건설
건립
설계
부착
편성
뉴스
"
형성
"(으)로 총 4,374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국어 빨리 배우는 사람의 뇌, 뭐가 다른지 보니
2016.01.24
영역인 왼쪽 전섬엽(anterior insula)과 전두판개(frontal operculum), 읽기에 영향을 주는 시각단어
형성
영역(VWFA) 등 뇌에서 언어 능력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영역들 사이의 연결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또 참가자들에게 12주간 프랑스어 수업을 듣게 한 후 수업을 듣기 전과 후 말하기와 읽기 시험을 ... ...
올해 세계를 놀라게 할 과학계 핫 이슈는?
2016.01.22
‘주노(Juno)’는 7월 목성 궤도에 진입한다. 주노는 목성의 대기 성분을 분석해 목성
형성
과정을 밝혀내는 임무를 맡았다. NASA는 홈페이지를 통해 “주노는 목성의 자기장과 중력장을 정확히 밝혀내 거대한 행성의 진화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중국, 지상 최대 ... ...
3D프린터-사물인터넷-드론… 규제에 가로막힌 新성장산업
동아일보
l
2016.01.21
국내에서는 일부 지방자치단체에 판매하는 게 전부다. 일본은 최근 수소연료전지차 시장
형성
촉진을 위해 수소충전소에서 도시가스를 원료로 직접 수소가스를 제조·판매할 수 있게 했다. 뒤늦게 수소연료전지차 개발에 나선 도요타가 직접적인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드론도 국내에서는 ... ...
올해 첫 한파… 원인은 북극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1.19
태양 에너지가 줄어들어 기온이 낮아집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북쪽 시베리아에서
형성
된 차가운 고기압의 영향으로 건조하고 찬 공기의 영향을 받습니다. 한파는 조금 다릅니다. 시베리아 보다 더 위쪽인 북극(고위도 지역)에서 영하 수십도에 달하는 찬 공기가 갑자기 중위도까지 내려오기 ... ...
한파 매섭다구요? 6억 년 전 지구는 적도까지 얼어붙은 ‘얼음 별’
2016.01.19
확인했다. 마그마가 차가운 물과 닿아 매우 빠르게 식으면 광물입자가
형성
되지 못하고 유리처럼 매끈한 유리질의 암석이 된다. 연구팀은 수천 만 년 동안 수 만㎞에 이르는 중앙해령이 폭발적으로 활동하면서 두꺼운 석회암 층이 만들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저 ... ...
[토요기획]美서 이공계 박사 학위 한국인 60% “미국에 남겠다”
동아일보
l
2016.01.16
“STEM 분야 우수 두뇌 확보 문제에선 정부 학교 기업 간에 견고한 연합 전선을
형성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개인의 능력을 높이 사는 문화도 우수 인력 유치에 한몫한다. 대형 금융회사 JP모건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인 문국상 선임연구원(44·컴퓨터과학 박사)은 “특히 미국 회사들은 한국처럼 ... ...
“내 자식은 무조건 이과”… 학부모 쏠림에 科高 ‘뜨고’ 外高 ‘지고’
동아일보
l
2016.01.14
자녀를 둔 학부모들 사이에는 “내 자식은 무조건 이과를 보낸다”는 공감대가
형성
돼 있다. 이과 선호 현상은 최근 특수목적고 경쟁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때 입시 열풍의 주역이었던 외국어고(31곳)는 2015학년도 2.31 대 1이던 경쟁률이 2016학년도에 1.93 대 1로 떨어졌다. 대원외고 등 서울지역 ... ...
와인과 은하를 사랑하는 천문학자
2016.01.13
은하를 찾는 이유는 뭘까. 그는 “우주의 기원을 찾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우주
형성
이론에 따르면 우리은하 주변에 작은 은하가 60~600개 정도 있어야 하는데 실제 찾은 건 30개 밖에 없어요. 작은 은하가 워낙 어두워서 못 찾은 건지, 아니면 정말로 없는 건지 찾아 봐야 알 수 있는 셈이죠. ... ...
내 몸에 박힌 금속, 1년 뒤엔 저절로 분해돼 사라져
2016.01.13
임플란트가 분해되는 과정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임플란트가 녹으면서 신생 뼈를
형성
시켜 골절 치료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논문 제1저자인 한형섭 연구원은 “의료용 임플란트는 체내에서 너무 빨리 분해 돼도 안 되고, 너무 늦게 분해 돼도 안 되는 만큼 속도 조절이 관건”이라며 ... ...
나노 크기로 ‘상상의 꽃’ 우담바라 만들었다
2016.01.11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교수팀은 액정을 열처리해 여러 모습의 3차원 나노구조가
형성
되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현재 액정을 정밀하게 가공할 때는 빛을 이용한 ‘광식각’ 기술이 주로 쓰인다. 액정 표면에 감광물질을 바르고 빛을 쪼여 표면을 가공하는 기술이다. 정밀한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