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
한 방울도 놓치지 않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연 강수량이 75㎜밖에 되지 않는 이스라엘의 네게브 사막에 사는 한 식
물
이 스스로
물
을 관리해 눈길을 끌고 있어요. 대황의 일종인 이 식
물
은 홈이 팬 독특한 모양의 ... 깊은 땅속 10㎝까지 빗
물
을 전달할 수 있다고 해요. 척박하고 메마른 환경을 이겨 내는 식
물
의 지혜가 정말 놀랍네요 ... ...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튀어나와 보이는 건 왜일까? 그건 바로 양안시차 때문! 눈 앞에 손가락을 세운 뒤 먼 곳의
물
체를 보면, 눈 앞의 손가락은 두 개로 보여. 이게 바로 양안시차 때문에 생기는 현상으로,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맺히는 상의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란다. 3D 입체 영상은 이러한 양안시차를 쉽게 ... ...
수학을 파는 자동판매기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지키는 것이겠죠. 결국 해결책은 소비자가 넣은 금액에 해당하는 만큼 원하는
물
건이 나오는 것입니다.이기송 박사는 1991년 KB국민은행연구소에 입사한 뒤 현재 금융교육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지난해 MBC ‘뽀뽀뽀 아이조아’에 출연해 금융 정보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저서로는 ‘어린이를 ... ...
사칙연산에 새겨진 영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모두 addend다. 덧셈의 결과로 얻어진 결과 ‘8’은 sum이라고 한다. 그러면 덧셈의 결과를
물
을 때는 영어로 어떻게말해야 할까? 바로 What is the sum?이라고 하면 된다. 그럼 질문의 대답은 어떻게 해야 할까? 위의 덧셈식 ‘5+3=8’을 영어로 말하면 five added to three makes eight 또는 three ...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다윈의 흔적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해도 외관이 굉장히 아름답다”고 기록했다. 하지만 박
물
관에서 다윈과 관련된 전시
물
을 볼 수는 없었다. 이런 곳에 다윈의 흔적이 남아 있지 않다니 참 아쉬운 일이다. 앞으로 찾아갈 곳에서는 꼭 다윈을 만날 수 있다면 좋겠다 ... ...
방금 따른 맥주가 맛있는 이유, 탄산 ‘맛’ 때문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탄산음료의 특별한 맛은 혀의 미각과 촉각을 동시에 자극해서 나오는 셈이다.연구팀은 동
물
중 포유류만 탄산 맛을 느끼는 이유도 연구하고 있다. 그들은 “포유류가 이산화탄소를 감지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가 있기 때문일 것”이라며 “앞으로 더 활발한 연구를 통해 밝혀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태양계 안팎을 공전하며 끌어당긴
물
질이 붙어 있었다. 또 혜성에 붙은 얼음 형태의
물
질이 태양열에 승화되면서 방출되는 현상이 혜성의 표면에서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NASA는 밝혔다. 이전까지는 표면에서 40~50m 아래 지점의 층이 가스 방출의 진원지로 추측됐다. 과학계에선 당시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때문에 발효시켜 에탄올을 얻는다고 한다. 이래저래 사탕수수는 버릴 게 하나도 없는 식
물
이란 생각이 또 한 번 들었다.“사탕수수 9t에서 설탕 1t이 나옵니다. 여기서 만든 설탕의 일부는 피지 국내에서 소비하고 나머지는 주로 유럽연합(EU)으로 수출합니다.”사양길 접어든 피지 사탕수수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하늘에 뭔가 떠 있으면 레이더는 라디오파를 쏴 되돌아오는 것을 분석해 하늘에 떠 있는
물
체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다. 바로 이런 점을 야광운에 적용해 보면 야광운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밝혀낼 수 있다.문제는 야광운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더파를 분석하기가 아주 어렵다는 점이다.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꽂다 만 파이프들이 쌓여 있었다. 한쪽에는 나무로 만든 기다란 관도 있었는데, 이것들도
물
론 파이프다. 그는 “파이프를 만드는 재료는 대개 ‘오르간 금속’으로 알려진 납과 주석의 합금이며, 그 외에 나무를 쓰기도 한다”며 “디자인상 예쁜 악기를 만들기 위해 바깥쪽은 주로 주석이 많이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