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감각신경이 되살아나기 시작한 것. 연구를 주도한 산부인과 송창훈 교수는 “수술이
성공
했다고 단언하기엔 아직 이르지만 기대했던 것보다 경과가 좋게 나타나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성체 줄기세포를 연구하는 가톨릭대 의대 오일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아주 초기단계로 수술이 ... ...
자성측정기 MPMS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네덜란드 물리학자 카머링 오네스가 최초로 4.2K(약 -269℃)에서 기체 헬륨을 액화시키는데
성공
했고, 1911년 마침내 수은을 액체 헬륨으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최초로 초전도 현상을 발견했다.그런데 모든 물체가 초전도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원소주기율표에 있는 112개 원소 중 30개 정도만이 ... ...
맹인견 대신할 전자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판단한다.연구팀은 전자눈을 부착하고 횡단보도 건너기를 테스트한 결과 198번 중 196번이
성공
했다고 밝혔다.전자눈은 사영기하학을 사용해 횡단보도의 길이도 측정할 수도 있다.일부 전자눈에는 시력을 모두 잃은 맹인을 위해 언제 횡단보도를 건널지 소리로 알려주는 음성 안내 기능도 부착됐다. ... ...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때문에 나노튜브 연구자들은 산소를 주입해 비정형 탄소를 제거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성공
확률이 낮고, 산소로 인해 나노튜브가 산화된다는 단점까지 있다.하타 박사는 “우리는 탄소나노튜브에 해가 없는 더 약한 산화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하타 박사 연구팀은 산화제로 물을 ... ...
NASA 극초음속기 음속 10배 돌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크게 줄일 수 있다는게 NASA측 관계자의 설명이다.전문가들은 스크램제트 연구가
성공
할 경우 전세계가 반나절권 안에 들어오는 시대가 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가까운 미래에 지구 저궤도를 누비는 스크램제트 수송기가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e러닝(e-Learning) 기술까지 접목돼 있다.가격은 400만원선으로 다소 비싸 아직 대중화에
성공
하진 못했다. 그러나 단순한 장난감이 아니라 친구나 가족 같은 개념의 로봇이 현실화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진로보틱스는 아이로비를 메신저나 휴대전화와도 연동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며 “따라서 한쪽 손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성공
확률이 더 높다”고 설명한다. 어설프게 양쪽에 분산투자하는 것보다는 한쪽에 집중한 것이 생존에 더 유리했다는 것이다.프랑스의 심리학자 이브 기아드는 이런 차이가 왼손과 오른손이 분업을 통해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만들어낸 곳이 CERN이라는 것은 맞는 얘기다. CERN은 1995년 반물질을 제조하는데 최초로
성공
했다. 이때 만들어진 반물질은 반수소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조한 반수소는 고작 수천개 정도. 폭탄과는 거리가 먼 무척 적은 양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반물질 폭탄을 만드는데 필요한 반물질을 저장하는 ... ...
"배아복제 연구 재개" 황우석 교수팀 美서 공식선언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한다며 반발하고 나섰다.세계 최초로 인간 복제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는데
성공
한 서울대 황우석 교수와 문신용 교수는 “그동안 중단했던 인간 배아 줄기세포 복제 연구를 다시 시작하겠다”고 최근 미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국생식의학협회(ASRM) 회의에서 공식 선언했다.황 교수는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지금까지 콜레라 바이러스를 맞닥뜨렸을 때 녹색으로 빛나는 누룩을 만들어내는데
성공
했다.벌레는 정보기술에서도 안전감시원 역을 톡톡히 해낸다. 컴퓨터에 생물학의 연구성과를 응용한 이 분야 중 눈에 띄는 것은 디지털 면역계. 집단을 이룬 곤충의 생태를 컴퓨터에 응용하면 고차원 지능을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