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까까머리 중학생 시절 청계천을 뒤져 라디오를 조립하면서 에디슨의 꿈을 키워오던 한 소년이 있었다. 이 소년이 미국에서 꿈을 이루고 돌아와 한국을 디지털 TV 강국으로 이 ... 남보다 더 잘할 수 있어요. 그리고 무엇을 하든 하는 일이 재미있고 만족스럽다면 그것이 바로
성공
입니다 ... ...
프린터 지문으로 위조지폐범 찾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12번의 실험에서 11번이나 해당 문서를 찍은 프린터를 맞추는데
성공
했다고 말했다.이들의 기술은 프린터가 문서를 찍을 때 사람처럼 고유의 ‘서명’ 을 하게 하는 것이다. 이들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레이저 프린터에 설치하면 프린터는 종류나 기기마다 문서에 문자를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방해하는 siRNA를 세포내에 직접 주입해 과도한 혈관 형성을 제어하도록 했다. 임상시험이
성공
한다면 RNA라는 새로운 신약 사용이 곧 실현될 수 있는 길이 열린다.RNA 간섭의 ‘능력’ 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RNA 간섭은 유전병 치료뿐만 아니라 다방면에 걸쳐 응용이 가능하다. 우선 RNA 간섭은 ... ...
X선 회절분석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용해 결정구조를 밝힐 수 있다고 예측했고, 같은 해 X선 회절무늬 사진 촬영이 실제로
성공
했다. 1950년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하는데도 X선 회절무늬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렇다면 XRD가 첨단장비이긴 한 것일까.“XRD는 고전적인 장비가 맞습니다. XRD의 기본원리도 예나 지금이나 동일해요.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것이다. 이와 같은 인공태반시스템을 이용해 연구팀은 염소 태자를 48시간 동안 살리는데
성공
했다. 10년 후 사람에게 적용 가능그런데 연구팀은 많은 실험동물 중 왜 하필 염소를 선택했을까. 염소는 보통 임신한지 1백50일이면 새끼를 낳는데, 실험에는 임신한지 1백20-1백30일 된 염소를 사용했다. 이 ... ...
상업 우주관광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경계선인 고도 1백km에 도달해 귀환한 뒤 2주 안에 똑같은 비행에
성공
하는 것이었다.이번
성공
은 앞으로 본격적인 상업 우주여행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스페이스십원의 기술특허권을 갖고 있는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은 벌써부터 우주에서 4분간 무중력상태를 체험할 수 있는 2시간짜리 ... ...
생각만으로 컴퓨터 게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컴퓨터 게임을 했다. 정확도는 70% 정도였다. 또 생각만으로 TV를 켜고 e메일을 여는데도
성공
했다. 이 연구는 사이버키네틱스 뉴로테크놀러지 시스템스(CNS)가 실시했으며 실험대상은 전 고등학교 미식축구 선수였던 25세의 남자로만 알려졌다. CNS는 올해 안에 4번 더 이 실험을 실시할 수 있도록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조안나 아이젠버그 박사팀은 이를 모방해 10㎛ 수준의 패턴이 있는 단일 결정을 만드는데
성공
했다고 2003년 2월 21일자 ‘사이언스’ 에 보고했다. 즉 유리판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이크로기둥을 붙인 뒤 그 주위에 방해석 결정이 자라게 한 것. 그 뒤 기둥을 녹여내자 10㎛ 간격으로 구멍이 뚫린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일 독일 베를린을 출발해 22일 스페인의 바르셀로나까지 장장 3천km에 이르는 유럽 일주에
성공
해 화제가 된 ‘HYSUN 3000’ 이 달걀 모양의 주인공이었다. HYSUN 3000은 젊은 독일 엔지니어들이 만든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다. 그래서 이름도 수소(Hydrogen)의 앞머리와 태양을 따 ‘HYSUN’ 으로 지었다. 달걀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인물이 필요 해요. 청소년들이 저 정도면 나도 연구에 도전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만큼
성공
한 과학자가 10명만 나와 보세요. 이공계 기피요? 저절로 해결될 겁니다.”“다시 태어나도 과학자가 되겠냐”는 질문에 망설임 없이 “물론이죠. 역시 표면과학을 연구할 겁니다”라는 문 박사. 그에게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