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놓고 봤을 때, 배를 마주해 겹쳐 놓는 편이 정상적인 물고기에 더 가까운 모습일 것이다.
결국
가자미류의 특이한 생김새와 이를 관찰한 사람의 부 정확한 내용 전달이 비목어라는 전설상의 물고기를 탄생 시킨 것이다.고루한 중국 학풍에 통쾌한 반박하지만 정약전은‘현산어보’에서 비목어의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1개씩 일정방향으로 소사(掃射)하여 광학적인 강약을 전기적인 강약으로 변환한다
결국
넓은 화면을 먼저 많은 선, 즉 주사선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의 선을 많은 점의 집합으로 나누어 전체를 아주 작은 화소(畫素)로 분해하여 보낸다 이론적으로는 주사선의 수가 많을수록 그림의 분해능 혹은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모양의 궤도가 태양 주위의 지구 궤도를 한바퀴 도는데는 자그마치 3백85년이 걸린다.
결국
3백85개의 강낭콩 궤도가 나선형으로 이어지면서 겹쳐져 거대한 ‘고리’처럼 나타난다.사실 간단한 궤도 공유 모델을 살펴보면 지구를 궤도 평면에 고정시켰을 때 최종적인 궤도의 모습은 완전하게 이어진 ... ...
나선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속물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온세상이 불타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 광경을 본 제우스가 마차를 향해 번개를 던졌고,
결국
파에톤은 별똥별처럼 긴 불꽃을 내며 에리다누스 강에 떨어져 죽었다.사실 전파은하 ‘0313-192’에서 나오는 제트도 에리다누스가 풍기는 죽음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이 전파 제트는 뭐든지 집어삼켜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불 박사는
결국
이스라엘의 첩보국 모사드에 의해 1990년 3월 암살당하고 말았다.
결국
이라크의 슈퍼건은 완성되지 못했다.그렇다고 쥘 베른의 꿈이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었다. 1985년 미국에서 우주대포에 관한 연구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존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빛의 진행 방향과 액정 분자의 방향과의 차이에 따라 굴절율과 전도율이 달라진다.
결국
액정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량을 조절하는 광 조절 밸브(valve)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또한 액정은 적은 전압으로도 분자 배열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이 적고, CRT처럼 전자총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연결망이 그랬다. 물론 필자(정하웅)가 연구중인 충무로 네트워크도 예외는 아니었다.
결국
1959년 이후 네트워크의 구조에 관해 우리의 사고를 지배했던 무작위 네트워크의 이론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척도없는 네트워크라는 이론이 탄생한 것이다.불균일한 척도없는 네트워크의 구조가 우리에게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인체 속의 다양한 조직과 장기로 들어가는 방사선 양을 알아내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결국
방사선 양과 피부 속으로 들어가는 관계를 알아내 방사선이 몸 속을 어떻게 통과하고 영향을 주는지 정확한 해답을 제시할 전망이다.한편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의 건물환경을 위한 버클리센터에서는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의사 가운을 벗고 소프트웨어 벤처업계로 들어선 지 8년이 됐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의사라고 불리는 사람이 있다. 바로 안철수연구소 안 ... 까마득하고 위를 쳐다보면 봉우리가 구름에 가려 보이질 않습니다. 현재의 성공은
결국
이 정도입니다. 그러니 멈추지 않고 계속 정상을 향해 가야죠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방출할 수 있고, 화면의 형광 물질에 정확하게 부딪쳐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전자총의 원리를 갖는 CRT만큼 값이 저렴하면서도 고화질을 구현하고, LCD나 PDP를 능가하는 얇은 평면을 구현할 수 있다. 나노 물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은 현재 초기 단계지만,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이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