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변화시킬 것이다. 그러나 X와 Y가 결합하지 않는다면 GAL4는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결국
배지는 푸른색을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이 방법의 장점은 대량의 단백질을 대상으로 그 결합 여부(X와 Y가 결합하는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는 점이다. X와 Y에 해당하는 단백질은 종류와 숫자를 얼마든지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때 국정감사까지 받아야 했던 기억을 연구원들은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하지만
결국
우리 손으로 만든 국내 최초의 액체추진제 로켓 KSR-Ⅲ는 성공적으로 비행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우주발사체의 독자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연구원들과 관련 ... ...
5명만 거치면 지구는 한가족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구성하고 있는 화합물의 수에 관계없이 짧은 거리로 일정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결국
세포 내 신진대사 네트워크도 좁은 세상인 셈이다.이와 같은 사실은 생명체가 생존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화합물을 만드는 경로를 짧게 유지해서 빠른 시간 내에 필요한 화합물들을 만들 수 있어야 하기 때문으로 ... ...
월드컵 하늘에 방패연 띄운 다윗 - 류춘수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많이 버는 길로 가는 현상은 과학의 고통을 감내하지 않으려는 것이라며, 이런 사람들은
결국
과학의 즐거움을 모르게 된다고 안타까워했다.자연 살리는 건축 해야그는 건축을 과학이나 예술의 눈으로만 봐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건축은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건축을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생긴 곳에 그대로 머무른다. 때문에 기포들이 합쳐져 무려 축구공 크기만큼 계속 켜진다.
결국
맥주가 밀려 올라가 잔에서 넘치고 만다.마찬가지 이유로 우주공간에서 주전자에 물을 끊이는 일은 위험하다. 주전자의 물이 끓어 생기는 기포들은 중력이 없기 때문에 물 위로 솟아오르지 못하고,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가상공간에서 진행되는 실험은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해 신속한 연구개발을 돕는다.
결국
컴퓨터시스템내 생물학(in silico Biology)으로 변화가 예견되고 있다.전세계적인 바이오인포매틱스 붐은 질병정복을 향한 인류의 강한 의지와 함께,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불리는 제약시장의 요구에 따른 ... ...
겸손한 과학이 만든 인간과 자연 공동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또한 마찬가지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삶을 얼마나 풍요롭게 하는가 하는 문제는
결국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사는 삶에 과학기술이 얼마나 기여했는가로 평가돼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꾸리찌바’는 지속가능한 개발, 또 이를 위한 과학기술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 ...
블랙홀이 태양계를 삼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핵의 중력 붕괴를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무한히 작아지고 조밀해져 블랙홀이 탄생한다.
결국
블랙홀은 초신성 폭발 때 발생한 추진력으로 움직이게 된다는 설명이다.블랙홀은 빛조차 빨아들이기 때문에 직접 관측되지 않는다. 이번 경우에도 블랙홀 주변을 2.6일에 한번씩 도는 짝별을 통해 블랙홀을 ... ...
1. 폭력 난무하는 약육강식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불구하고 홀름버그는 은하들이 서로 충돌하며 뒤틀리고 속도가 느려져
결국
합쳐질 수 있다고 결론내렸다.1960년대 후반 컴퓨터가 더 빠르고 강력해지자 천문학자들은 은하 충돌을 좀더 정교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었다. 당시 가장 잘된 시뮬레이션 연구는 알라와 유리 투므어 형제가 1972년에 쓴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비견되고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변화를 몰고 오리라 예상된다. 생명과학 전분야가
결국
바이오인포매틱스로 변화할 것이라 보는 시각까지 나오고 있다. 분자생물학과 바이오인포매틱스과학자들은 바이오인포매틱스를 설명할 때 흔히 분자생물학에 비유한다. 왜 그런 것일까.분자생물학은 195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