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3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기공룡 '둘리'와 함께 빙하타고 내려온 것은 뭐?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식물성 플랑크톤과 유공충 등이 깊은 바다로 내려가고, 깊은 바다의 영양분이 바다
표면
으로 올라왔다"며 "그 사이 빙하가 녹으며 철이 함유된 물이 유입돼 순환을 막아 작은 생물들이 영양분과 함께 갇힌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식물성 플랑크톤과 유공충이 순환을 멈춘 채 빛을 받아 ... ...
이열치열? 사우나서 땀 흘리면 더위 식혀질까
동아일보
l
2013.07.15
더운 날에 뜨거운 물로 샤워하면 몸 안에서 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더불어 피부
표면
에 있는 물이 증발하면서 이미 발생한 열은 날려버린다. 이 과정을 통해 체온이 일시적으로 떨어진다. 정반대의 상황을 가정해 보자. 푹푹 찌고 습도도 높은 날, 냉수로 목욕을 하는, 이른바 ‘이냉치열 ... ...
[채널A] 땀 막으려다 피부 ‘비명’…데오드란트 부작용 주의
채널A
l
2013.07.14
마개를 형성합니다. 반면 데오드란트는 땀도 일부 억제하지만 냄새를 유발하는 피부
표면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따라서 데오드란트는 수시로 사용해도 되지만 땀 억제는 일주일에 2~3번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 구소연/피부과 전문의] 땀 억제제를 데오드란트처럼 ... ...
'이것' 흉내내니 방수기능 '대단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1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다. 김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기존의 초소수성
표면
제조방법과 달리 저온에서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만큼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6월 28일자에 실렸다 ... ...
남극 속살 탐사할 장보고과학기지 '스탠바이'
동아사이언스
l
2013.07.11
이종익 극지지구시스템연구부장은 “지구상에서 가장 춥고 건조한 남극 대륙은 달
표면
과 가장 유사한 환경”이라며 “기지가 세워지면 운석 확보뿐만 아니라 운석 분석을 통해 우주 개발 계획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남극 빙하 연구도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 ...
중성자 연구로 IT 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1
방에서 정보통신기술(IT)의 대혁명이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플린 속에는 달
표면
에 풍부한 ‘헬륨3’이 가득 차 있는데, 헬륨3은 여러 방향의 중성자 중 특정 방향의 것만 걸러 낼 수 있도록 해 준다. 한 방향으로 된 중성자를 이용하면 원하는 물질의 자기 구조와 움직임을 명확하게 ... ...
착륙 전, 착륙 후 ‘魔의 11분’ 극복 방법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10
항공기의 실속(stall)을 막기 위한 장치다. ‘실속(失速)’은 항공기 날개의
표면
이나 공기를 받는 받음각(앙각)에 강한 충격파가 발생해 기류의 흐름이 매끄럽지 못할 때 양력이 감소되고 항력이 증가해 추진력을 잃는 현상을 말한다. 이 같은 실속이 발생하면 조종이 쉽지 않기 때문에 ... ...
모유 안나오는 산모는 인슐린 분비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7.08
놈센-리버스 박사는 수유기의 모유에서 젖샘의 RNA를 얻어 분석한 결과, 인슐린이 세포
표면
의 수용체에 붙으면 활성화되는 PTPRF 유전자가 '바이오마커'로 작용해 모유 생산과 관련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바이오마커는 생명체의 정상 또는 병리적인 상태 등을 객관적으로 측정해 줄 수 있는 표지를 ... ...
베일 벗겨진 수성
표면
의 나이
동아사이언스
l
2013.07.07
수성
표면
이 40억~41억 년 전 생긴 것”이라며 “과거대충돌 직후 화산폭발 등으로 수성
표면
의 대부분이 새로 형성된 것”이라 말했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영국 런던 북동부에 위치한 에핑 포레스트(Epping Forest)를 중심으로 앞쪽으로는 농경지의 모습, 뒤쪽으로는 런던 시내의 모습을 표지에 ... ...
학계 “세계적 나노과학자 잃었다”
동아일보
l
2013.07.06
’을 연구했다. 게코도마뱀은 유리벽을 기어오를 때 발가락에 난 미세 섬모가 유리벽
표면
을 흡착한다.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굵기인 미세 섬모를 서 교수는 나노기술로 모방해 냈다. 생활가전에서 인공장기, 국방무기 등에까지 무궁무진하게 응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인공신장칩과 인공심장도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