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5,836건 검색되었습니다.
3. 전통과 첨단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603
Bin' 이라는 하나의 코너만 전시돼 있다. 이 코너는 회화 음악 문학 사진 소설 등 다양한
분야
를 포괄하는 예술 잡지로, 이 하나 때문이라도 충분히 가볼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다. 약 1백50여개의 다른 예술 사이트와도 링크해 놓았다 ... ...
4. 좌담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밤샘 토론에서 나온다
과학동아
l
199602
다른데요. 처음에는 삭막한 것 같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학교에 정이 들어요. 관심있는
분야
에 대해 토론을 할 수 있는 친구가 많아서인가 봐요. 여럿이 모여 토론을 하다 보면 아이디어 교환이나 문제 해결 방식을 찾는 것도 쉽죠. 다른 대학을 다녔으면 밤새도록 모여 공부하는 기회를 갖지 못했을 ... ...
군부와 경영진 전폭 지원
과학동아
l
199602
필요했기 때문에 임금 부담이 상당히 컸다.이런 상황에서 당시 기계산업이나 항공산업
분야
에서 선택된 것은 NC 기계였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NC 기계가 채택된 이유로 먼저 공군의 판단과 이를 무시하지 못한 기업의 입장을 들 수 있다. 당시 공군은 새로운 전투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큰 장력과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02
코드안으로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에 널리 알리지 않는 한 귀중한 시간을 비생산적인
분야
에 낭비하는 일은 계속될 것이다.세계적으로 우수한 글자인 한글이 왜 후손들에 의해서 정보화 시대를 가로막는 걸림목이 되어야 하는지 안타깝기만 하다. 특히 한국인이 아닌 다른 나라 사람들이 자신의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02
성격을 가진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훨씬 유리하다는 것이다.심리학자를 비롯 여러
분야
의 전문가들이 인간의 능력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제는 지적 능력을 포함한 감성이나 성격까지도 인간의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현대는 사화구성원들에게 다양한 능력을 요구한다.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02
잡지들에 나의 연구를 발표하고자 했을 것이다.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활발히 나의 연구
분야
를 넓히는데 KAIST는 부족하지 않았다. 그리고 내가 졸업한 후에도 도움을 받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전통속에 머무를 수 있는 것 또한 큰 장점이라 하겠다.학위과정을 수행하면서 느끼된 장점 때문인지 유학에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02
많은 일꾼들을 투입해 어떻게 능률적으로 일을 하는지가 승패를 좌우한다. 최근 경영학
분야
에서 가장 효율적인 기업의 구조와 규모를 찾아내려는 ‘비즈니스 리스트럭처링’(business restructuring)에 관한 연구가 한창인데, 개미사회가 과연 어떻게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지는 흥미로운 연구과제다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02
진행되면 다른 연구기관에 과제를 넘겨주는 발빠른 연구행보를 해야한다. 이런 연구
분야
의 설정을 위해서는 정부와 정부산하의 정책부서와도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넷째로 KAIST는 국제화를 통한 세계로의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 외국의 선진연구소는 물론 중진국 내지는 후진국과의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
과학동아
l
199602
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해 전문화된 과학교육을 실시한 것이다. 그러나 학문적인 입장에서
분야
별로 나눠 가르치는 방식이 과학교사들로부터 비판을 받게 됐다.1980년대 학문중심 과학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온 곳은 전국과학교사협의회(NSTA). 이들은 "과학·기술·사회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02
연구가 가장 괄목하게 발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신경정신계 질환의 치료가 어느
분야
보다 크게 진보돼 과거에는 치료가 불가능하게 보였던 많은 신경정신계 질환이 완치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신경정신계 질환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결과, 암을 비롯한 많은 질환이 유전자 차원에서 문제가 있는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