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데 논문을 싣는 게 아니더군요.”미국인 대다수는 실생활에서 좀 더 유리한
분야
를 택하고 순수 과학을 전공하는 소수는 정말로 과학을 좋아하기 때문에 연구를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라고 느꼈다. 선진국에서 순수과학은 보수와는 크게 상관없이 정말 하고 싶은 사람만이 하는 일인 셈이다.미국 ... ...
지웠다 쓰는 홀로그래피 나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칠판처럼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홀로그래피 기술이 개발됐다.홀로그래피란 물체를 통과하는 빛의 정보를 고분자에 기록해 물체의 영상을 3차원으로 재 ... 써서 업데이트가 가능한 3차원 영상을 구현했다”며 “입체영화나 원격외과수술 같은
분야
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있었다.이 두 여성과학자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멘토’에 있었다. 호지킨은 결정학
분야
의 권위자인 존 버날이라는 훌륭한 멘토를 만나 성장했고 과학계 동료와 소통하는 방법을 배운 반면, 프랭클린은 세계 최고의 DNA X선 회절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실력과 연구에 대한 뜨거운 열정이 있었지만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일 만큼이나 인체통신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
를 찾는 일도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2015년.우리 몸에 더욱 가까워진 통신 기술이 그리는 세상을 상상하는 일만으로도 즐거워진다.내 몸에 파일이 흐르면 위험하지 않을까?최근 개발되고 있는 인체통신장치들은 ... ...
자몽의 쓴맛, C형 간염바이러스 억제해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식물 색소의 일종인 나린진이 C형 간염바이러스의 이동을 막는다는 연구결과를 간질환
분야
국제저널인 ‘헤파톨로지’ 3월호에 발표했다.C형 간염바이러스가 간을 계속 감염시키려면 감염된 간세포에서 빠져나와 다른 간세포로 옮겨가야 한다. 이때 간에서 각 세포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원자로로서 주목되고 있다 다양한 목적에 병용 사용되는 원자로 특히 발전 이외의 비전력
분야
에서 원자로의 열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원자로이다 또한 고온가스로(爐)는 그 열에너지를 직접 여러 가지 산업에 이용하는 데서 이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다발성의 원발성골종양(原發性骨腫瘍) ... ...
2. 기업의 또 다른 힘 멘토링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가운데 상사의 추천을 받아 멘티를 선발하고 7일간 리더십 교육을 한 뒤 부족한 두세
분야
의 역량을 멘토가 집중적으로 훈련시킨다. 멘티를 가르치기 위한 멘토도 멘토링에 관련된 교육을 받는다. HP 로즈빌 공장에서 멘토링에 참여한 커플은 100쌍이 넘었다.2001년부터 멘토링 제도를 도입한 국내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알려진 모차르트가 한 친구에게 쓴 편지의 구절이다. 창조성이 높게 평가되는 예술
분야
에서 성공한 사람들 가운데는 모방이 출발점이었다고 고백하는 사람이 많다. 소설가 이순원은 조세희의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베껴 쓰면서 소설을 공부했다고 한다. 해외 유명 미술관 앞에는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2년), 노벨생리의학상(2003년)을 모두 휩쓴 연구
분야
가 바로 MRI와 NMR의 기반인 자기공명(MR)
분야
다. 자기공명의 원리를 발견한 기초연구부터 MRI와 NMR을 개발한 응용연구까지 노벨상을 싹쓸이했다. 첨단장비를 개발하고 연구하면서 학문적으로 의미 있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기초연 자기공명연구단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매개 역할을 한다고 미국 유타대 뇌과학연구소 에릭 조르젠슨 교수팀이 생명과학
분야
국제저널인 ‘셀’ 1월 11일자에 발표했다.조르젠슨 교수팀은 기생충의 일종인 ‘예쁜꼬마선충’이 배설하는 도중 장 세포에서 주변 근육세포로 양성자가 대량으로 뿜어져 나오는 현상을 발견했다. 또 배설을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