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앱으로 나를 소개하자!수학동아 l2016년 01호
- 1) 버튼 추가하기 ▲ 팔레트에서 Button을 드래그해 뷰어로 가져갑니다. ▲ 속성에서 Button 안에 들어갈 글자를 ‘이름’으로 바꿔줍니다.(2) 사진 추가하기 ▲ 팔레트에서 Image를 드래그해 뷰어로 가져갑니다. ▲ Image 속성에서 Upload File을 클릭해 자신의 사진을 추가합니다. 추가한 버튼과 사진이 ...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제발 날 꼭 구해주게. 음…, 그럼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내시는 잠시 동안 말을 하지 못하다가 곧 말을 이어갔다.“경제학자 애덤 스미스는 합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인간은 언제나 자신에게 최고로 이익이 되는 선택을 한다고 주장했어. 이 이론은 약 200년간 유지됐는데 여기에 22살 어린 ...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도형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하트 모양을 만들 수 있도록 안내한다.수업을 마무리하며하트 모양을 만드는 활동 안에는 기본적인 원과 사각형 작도가 포함돼 있어 중학교 1학년 작도 단원의 내용과 직접 연결된다. 더불어 닮음비와 넓이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학의 규칙성도 알 수 있다. ... ...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하나씩 꼽았다). 정확히 1983년 입니다. 과학고를 합격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버스 안에서 삼성전자가 우리나라 최초로 8비트 컴퓨터를 만들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과학고에 합격해 연합고사를 볼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그때부터 매일 시내에 있는 삼성전자 컴퓨터 전시장에 출근도장을 찍었죠.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BNST의 앞등쪽 부분이 불안을 억제하고, 타원핵 부분이 불안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광유전학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광유전학 이전 기술로는 이렇게까지 섬세하게 뇌를 조절할 수 없었다.“뇌의 모든 뉴런을 하나하나 조작해 기능을 완벽하게 알아내는 ... ...
- [Tech & Fun]추운겨울, 물 없이 씻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하는 데다가 영양분과 적당한 온도까지 갖추고 있어, 균에게는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안락한 장소입니다. 그래서 워터프리 제조업체들은 균의 번식을 막기 위한 방부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부보존제를 넣거나 수분의 활성도를 낮추는 것이지요. 방부보존제는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보통 조건의 참가자보다 훨씬 목표 달성률이 높았다.장애물을 함께 떠올리는 것은 불안감을 키우고, ‘긍정의 힘’을 떨어뜨리는 것 같다. 하지만 이것은 정신을 구름 위에 둥둥 뜬 상태에서 현실로 소환시키는는 효과를 가진다. 골비처 교수는 이것이 동기부여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첫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시선에 따라 렌즈에 보이는 화면을 맞춰 보여 준답니다.어때? 28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렇게 큰 변화가 있었다니 참 신기하지? 이번에 본 기사 내용을 엄마, 아빠와 함께 이야기 나눠 보자. 엄마 아빠가 ‘그땐 그랬지’라며 어렸을 때의 이야기를 들려주실 거야. 오락실과 마이마이, 벽돌폰 말고 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말해요. 프랙탈은 자연에서 흔히 볼 수 있어요. 브로콜리나 동물의 혈관 분포 형태, 해안선 등이 프랙탈의 예지요.이번 기사와 관련이 있는 노래는 ‘Atomic(원자의)’과 ‘신의 입자’예요. 두 곡에는 ‘점점 더 빨라지는 전자의 속도’, ‘다들 찾아내지 못하지, 니 마음 속 쿼크의 장난’과 같은 ... ...
- 부르르르~, 자석으로 켜는 진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늘어서 있는 공간인 거예요.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자석에 직접 닿지 않아도 자기장 안으로 물체가 들어오면 자기력의 힘을 받게 돼요. 그래서 자석을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로봇을 켜고 끌 수 있는 것이랍니다.자석으로 켜고 꺼지는 스위치가 바로 리드스위치예요. 밀봉된 유리관 속에 2개의 리드 ... ...
이전3953963973983994004014024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