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설"(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싫어했다. 재밌는 일화로 어느 날 하디가 배를 탔는데 폭풍우가 몰아치자 하디는 리만 가설을 해결했다고 전보를 보냈다. 만약 신이 존재하면 거짓을 용납하지 못해 배를 침몰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였다. 하디는 무사히 돌아왔다. 하디와 라마누잔의 아름다운 연구하디가 없었으면 라마누잔도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것을 증명했다. 쌍둥이 소수 추측은 소수 사이의 간격이 2인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가설이다. 여기서 n이 2가 되면 쌍둥이 소수 추측이 해결된다.협력의 진가 발휘한 쌍둥이 소수 추측이탕 장의 연구가 발표되자 수학계는 흥분했다. 폴리매스 프로젝트도 곧바로 이탕 장의 연구 방법을 활용해서 n을 더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난 8월 24일, 한 유명 커뮤니티에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이 충전 중에 폭발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그로부터 6일 뒤 두 번째, 세 번째 폭발 사고가 이어졌고, 현재(9 ... 확대해석을경계했지만, 삼성전자가 의혹에 대한 명쾌한 해명을 하기전까지는 이런 가설들이 끊임없이 제기될 것이다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밤에 적응하지 못한 공룡은 먹이를 먹는 데 제약이 생겨 서서히 멸종에 이르렀다는 가설이다. 6600만 년 전이 아니라 그 수백만 년 전에 이미 공룡이 멸종 수순을 밟고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 2015년 10월 영국 브리스톨대와 레딩대 공동연구팀은 공룡의 가계도를 분석해 종다양성의 변화를 시기별로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시기가 맞아떨어졌다. ‘침팬지에게 고릴라보다는 인간이 더 가까운 친척’이라는 가설을 미생물 유전자 간의 유사성을 봐도 확인할 수 있는 셈이다(‘You are not alone’이라는 마이클 잭슨의 노래가 장속 깊숙한 곳으로부터 들려오는 듯하다!).장내미생물이 최소 1500만 년 전부터 쭉 인간과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물리학자 막스 플랑크가 ‘빛은 정수배의 특정한 진동수를 갖는 에너지 알갱이’라는 가설을 이용해 고전 전자기학으로는 이해할 수 없었던 흑체의 복사법칙을 설명해 냈다. 이를 계기로, 빛의 양자론이 정립됐다. 아인슈타인은 금속에 빛을 쪼였을 때 전자가 튀어나오는 광전효과를 빛이 입자로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설명하려면 아무래도 과감한 가설을 가져오는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그게 너무 과감한 가설이었다면? 미래를 예측하는 기계가 아니라면? 거기가 첫 번째 갈림길이었다. 언뜻 눈에 띄지는 않았지만 다른 길 하나가 숨겨져 있는 게 분명했다.‘미래를 알아맞힌 건 맞는데, 그게 사실은 미래를 예측한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대뇌피질이 없는 무뇌수두증 아이가 기쁜 표정을 지을 줄안다는 사례가 보고되면서 이 가설이 의심을 받게 됐고, 스웨덴의 뇌과학자 비요른 메르케르는 대뇌피질이 아닌 중뇌와 기저핵이 의식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이에 대해 바론과 클라인 교수는 “피질은 분명 인간의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데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기생충을 독에 노출시킨 결과, 기생충의 활동이 감소하고 일부는 죽기도 했다. 만약 이 가설이 옳다면 어미가 새끼의 털에 독을 발라주는 행동도 설명이 가능하다.물론 독이 공격용으로 쓰일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느림보원숭이가 무언가에 놀랐거나 위협적인 상대를 만났을 때 보이는 행동은 ... ...
- [Tech & Fun] 운동 선수의 금지약물 복용, 효과 얼마나 지속될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것도 바로 이 부분이다.스테로이드의 장기적인 효과를 지지하는 이들은 ‘기억 근육’ 가설을 근거로 든다. 노르웨이 오슬로대 크리스티안 군데르슨 교수는 동화작용 스테로이드 계열을 이용해 한 번 근육을 만들면, 장기적으로도 이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결과를 2013년 발표했다(doi: 10.1113/jphysiol.2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