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d라이브러리
"
가설
"(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미세 지진파는 두 번째
가설
에 따라 생긴다는 게 밝혀졌다. 아드휴인 박사는 “두 번째
가설
처럼 파도 충돌로 험이 만들어지려면 파도의 파장이 바다의 깊이보다 훨씬 짧아야 한다”며 “그러나 실제로는 반대다. 장주기중력파의 파장은 11km보다 긴 반면, 바다의 깊이는 항상 이보다 얕다”고 말했다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가진 성숙한 사람은 혼자 밥을 먹든 같이 밥을 먹든 별로 불편해 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설
을 제시했다. 음식점이나 술집에서 자신감을 갖고 혼자 당당하게 밥을 먹는 사람은 사회적 평판이 하락하기는커녕 오히려 ‘보통 사람은 불편해 하는 상황에도 능숙하게 대처하는 멋진 사람’으로 평가될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주목하고 있다. 아직 과학계에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지만, 베이지언 통계방법론은 영
가설
유의성 검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완재 내지 대안으로 점점 각광받고 있다.데이터분석 관행이 바뀌어야 한다는 데에는 과학자들 사이에 큰 이견이 없어 보인다. 과학연구의 재현성과 신뢰성을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소수가 4k+1꼴의 소수보다 더 많다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일반화된 리만
가설
등 몇몇
가설
이 참이라고 가정하면 1부터 n까지 3k+2꼴의 소수가 3k+1꼴의 소수보다 많을 확률이 99.9% 이상이라는 마이클 루빈슈타인 교수와 피터 사느락 교수의 1994년 연구 결과도 나와 있습니다.연속한 두 소수의 끝자리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것이랍니다. 이 분야를 연구하게 된 이유가 있나요?조합수학의 ‘4색 정리’나 ‘g-
가설
’같은 어려운 문제가 위상수학과 관련 있다는 걸 지도교수님을 통해 알게 됐어요. 이 점이 매력적으로 다가왔답니다. 예를 들어 임의의 3차원 다면체 위에 어떤 성질을 만족하는 원환체 위상 공간을 찾을 수 ... ...
[Editor’s note] 인공지능 수학자는 언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우주의 비밀을 파헤쳐보려고 할까요? 혹은 난제에 도전해서 성공할 수 있을까요? 리만
가설
을 증명할 수 있을까요?온통 물음표투성이입니다. 답을 알고 싶다면 여러분이 직접 인공지능 수학자를 개발해 보는 게 어떨까요? 수학동아를 보면서 차근차근 수학을 공부하다보면 뛰어난 인공지능 수학자를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살아남을 수 있었다면, 자연 선선택은 고약한 맛을 만드는 유전자를 택했을 것이다. 이
가설
이 맞는다면, 애벌레 때 비교적 먼 혈연들까지도 함께 모여 사는 종보다 친동기들끼리만 모여 사는 종에서 고약한 맛이라는 방어체계가 더 뚜렷이 나타나리라고 피셔는 예측했다.이제 다음 단계는 이타적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태양과 지구 사이에 어떤 ‘물질’이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일명 에테르
가설
이다. 아인슈타인은 이런 에테르가 없어도 빛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냄으로써 시간과 공간이 상대적이라는 놀라운 과학적 진보를 이뤄냈다.그런데 태양과 지구 사이의 에너지 전달에는 ... ...
[헷갈린 과학] 바다표범VS바다사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않고 대신 구멍만 뚫려 있어서 겉에서는 보이지 않는답니다. 그 이유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
이 있지만, 과학자들은 귓바퀴를 통해 열이 빠져나가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보고 있어요. 바다표범의 많은 종이 남극이나 북극처럼 매우 찬 바다에 살고 있기 때문이랍니다.귓바퀴가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과학 분야에 ‘재현성 논쟁’이 뜨겁다. 과학 전반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로, 쉽게 볼 수 없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특히 ... 끊이지 않고 있다. 이렇게 널리 이용되는 절차에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 다음 호에서 영
가설
검증과 유의확률의 허점에 대해 알아본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