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d라이브러리
"
가설
"(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버렸고 둘의 운명(순서)도 바뀌었다. 현재 ‘니스 모델’이라고 불리는 태양계 형성
가설
이다.그래서일까. 해왕성은 천왕성과 유사한 점이 많다. 맨틀이 ‘얼음’ 형태의 가스형 행성이고 푸른빛을 띤다. 이런 색깔은 대기 중 미량의 메탄이 붉은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천왕성의 대기가 ... ...
[과학뉴스] 초대칭이론은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이번 실험결과는 표준모형에서 예측하는 바와 완전히 일치한다”며 “다른
가설
이 필요 없다”고 말했다. 윌킨슨 박사는 “앞으로 몇 년 안에 아무런 증거가 나오지 않을 경우 초대칭이론은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물리학’ 7월 27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베이지색지방이 생긴다는 건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현재 가장 유력한
가설
은 추운 상황과 운동하는 상황을 근육이 구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낮은 온도에 오래 있게 되면 근육은 저절로 떨게 된다. ‘떨림열’을 만들어 내기 위함이다. 근육의 입장에서는 추워서 떠는 것이나 운동을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17년마다 나타난다.과학자들은 주기매미가 일정한 주기마다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여러
가설
을 세웠다. 천적인 기생충의 주기를 피해서라거나 일정한 공간에 서로 다른 종이 한꺼번에 나타나면 짝짓기 성공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13년 주기매미와 17년 주기매미가 동시에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있습니다. 반면, 추론이 필요한 질문에는 귀납적으로 접근해야 해요. 여러 가지 ‘정답
가설
’을 놓고 질문에 다시 대입해서 신뢰도를 계산하는 방식이죠.”연구팀의 기술력은 세계적인 수준이다. 이미 91.2% 정확도로 한국어 문장을 이해할 수 있다(왓슨은 88.7% 정확도로 영어 문장을 인식한다). ... ...
[과학뉴스] 빛 느끼려면 광자 몇 개가 필요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홀메스 박사는 “광원에서 나온 광자의 10%가량이 실제로 원추세포에 도달한다는
가설
을 적용해 결과를 계산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6월 10일 미국물리학학회에서 발표됐다 ... ...
수성 탐사선 ‘메신저’ 편히 잠드소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성 북극에서 얼음과 유기화합물 층을 찾아내 수성의 극지방에 물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
을 입증하기도 했다. 메신저호는 두 차례나 임무를 연장 수행하다가 지난 달 모든 추진력을 소진하고 수성에 충돌했다. 전령(messenger)이 추락한 자리에는 16m 크기의 크레이터가 생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 ...
우주는 평평한 2차원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느끼는 우주의 모든 정보가 홀로그램 원리처럼 2차원의 우주에 모두 담길 수 있다는
가설
이 수학으로 증명됐다. 오스트리아 빈 공대 다니엘 그루밀러 박사팀은 “2차원 우주에서 ‘얽힘 엔트로피(entanglement entropy)’를 산출한 결과와 3차원 우주에서 얽힘 엔트로피를 산출한 결과가 서로 동일한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윌슨은 모든 인류에게 바이오필리아, 다시 말해 '녹색갈증'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가설
에 따르면, 인간은 오랜 세월 동안 진화를 거치면서 최적의 생태적 공간을 좋아하는 유전자를 갖게 됐다.넓고 메마르지 않아 식물이 많고 어느 정도 질서가 잡혀 있으면서도 완벽하게 기하학적 대칭을 이루지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출력속도와 관계있는 그래픽처리장치 (GPU)가 발달하면 진짜 같은 가상현실에 한 걸음 다
가설
수 있을 것이다.현실을 닮아가는 가상현실가상현실 기기는 사람의 감각을 빠르게 닮아가고 있다. 그런데 기기를 통해 볼 ‘가상현실’ 그 자체는 실제 현실을 얼마나 닮아가고 있을까. 가상현실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