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적"(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모양만 조금 변하는 수준에 그쳤죠. 조금 더 전문적으로 표현하자면, 이는 1cm2 면적에 질량이 약 352kg인 물체가 누르는 힘을 견딜 수 있는 수준인 34.5MPa(메가파스칼)에 해당하는 강도입니다. 40MPa을 견디는 고강도 콘크리트에 필적하는 수준이죠. 이는 삶은 계란에서 흰자의 강도에 비해 150배나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천체는 구형이다. 질량이 충분히 큰 물체는 내부 중심으로 중력이 작용하는데, 표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 모양을 띠고 있다. 연구팀은 육면체 지구의 질량이 실제 지구와 같다고 가정하고 계산한 결과, 한 변의 길이가 약 9340km인 정육면체라는 결과를 얻었다. 구형을 제외했을 때 정육면체가 가장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요약하며 ‘무어의 법칙(Moore’s Law)’으로 부르면서 굳어졌다. 무어의 법칙은 같은 면적에서 메모리의 용량이, 또 중앙처리장치(CPU)의 속도가 2배씩 향상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무어의 법칙은 실제 ‘법칙’처럼 잘 맞아 떨어지는 듯 보였다. 하지만 점점 집적회로가 ... ...
- 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평가했다. 미세먼지 제거 효율의 경우 공기청정기마다 공기를 충분히 정화할 수 있는 면적(표준 사용 면적)으로 나타낸다. 시험결과, 모든 제품에서 기기에 표시된 기준의 90%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암모니아와 아세트알데히드, 초산 등 악취가 심한 물질이나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등 ...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읽어도 정밀도가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칩은 가로 2.3mm, 세로 1mm로 면적이 약 2.3mm2에 불과하다. 엄지손톱의 50분의 1쯤 된다. 이 교수는 “앞으로 크기와 발열량을 더 줄여서 인체에 무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10년마다 약 4.1%씩 급격히 줄고 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북반구 겨울철(3월 초) 해빙 면적이 약 1500만 km2까지 늘어나다가 여름철(9월 초) 700만 km2까지 감소했다. 그런데 2000년 이후부터 해빙 분포가 급격히 줄기 시작해 2012년 9월 초에는 약 350만km2 정도로 줄었다. 북극의 해빙이 감소하면서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한 달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 3000km2가 넘는 빙붕(라슨B)이 붕괴됐다. 이 정도면 남한 면적의 3분의 1 넓이다. 그러나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지금까지 본격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2013년 아라온호에 다양한 지질·지구물리 장비를 싣고 라슨 빙붕 지역을 탐사했다. 퇴적물 ... ...
- Part 1. 평창 동계 올림픽, 과학 올림픽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인터넷망보다 20배 이상 빠른 초고속 인터넷망 기술이에요. 5G 이동통신이 가능해지면 1㎢ 면적에 백만 대의 통신 기기가 모여 있어도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게 되지요. 그 결과 수많은 기기가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도 가능하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금메달의 비밀은 ◯◯?!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전자 이동 속도가 빠르다. 강도는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다. 또 신축성이 좋아 본래 면적의 20%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으며, 접어도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게 유지된다. 그래서 그래핀을 초경량, 고강도 소재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개발 등 다양한 방면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나 대량 ... ...
- 정보화 사회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기후 변화, 환경오염의심화 등 여러 문제들이 뒤따라 발생했다. 도시 공간의 확장은 녹지 면적의 감소로 이어져 비가 내렸을 때 빗물을 흡수할 토양을 부족하게 만들었고, 이는 여름철 도시 하천에 홍수의 위험을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 한편 도심은 주변 지역에 비해 기온이 높게 나타나는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