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d라이브러리
"
상용
"(으)로 총 9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뜰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전기 터빈’이라는 미래형 엔진을 개발해 마하4 이상으로 비행하는 초음속 제트기를
상용
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엔진은 기존 제트엔진과 전기모터를 융합한 하이브리드 엔진이다. 연료를 태워 초전도 발전기에서 전기를 만든 뒤, 이 전기로 만든 플라스마를 고속 분사해 추력을 얻는다. 리처드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과 입체 영상도 볼 수 있다. 이런 5G 기술이 당장
상용
화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2020년 세계 최초로 5G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이 기술의 중심에 수학이 있다. 5G 가능하게 하는 수학이동통신 시스템은 디지털부와 아날로그부로 나뉜다. 디지털부는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가장 많은 연구자들이 몰입하고 있는 방식이 토카막이다. 그만큼 유망하다는 뜻이다.
상용
핵융합이라는 놀라운 성과를 과연 언제 보여줄지 그 시간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머지 않은 시간이지 않을까.이란성 쌍둥이 형제가 있었다. 처음에는 형이 주목을 받았지만 곧 동생이 대세가 됐다. 어디 가나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핵융합 장치를 건설한다. 반경은 케이스타의 약 3배, 부피는 약 25배에 이른다. 미래의
상용
핵융합로에 필요한 규모와 거의 같다. 이터는 스스로 타면서 핵융합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최초의 핵융합 실험로다. 한번 가동을 시작하면 최대 2억K의 고온 플라스마가 400초 동안 꺼지지 않고 계속 에너지를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좋았고, 심지어 맛도 훌륭했다. 다만 아직까지 관심을 보이는 식품업체는 없다고 한다.
상용
화까지는 시간이 꽤 걸릴 것 같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과학상 2014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PART 2. 물리학상PART 3. 생리의학상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EPILOGUE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생화학과 교수는 “간암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표지 단백질(바이오마커)을 발견해
상용
화 단계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간암을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유전자와 단백질을 활용했지만 정확도가 떨어지고 간염, 간경화 등과도 구분이 안 됐다. 백 교수팀이 발견한 표지 단백질은 간암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제대로 보일 수 있게 만든 마지막 비결인 셈이다.“가장 중요한 건, 히든QR코드가
상용
기계로 복제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인 인쇄기로 찍을 수 있는 가장 미세한 선의 너비는 약 25μm(1μm=100만 분의 1m)에요. 10μm 너비의 십자가를 인쇄하는 기술은 한국조폐공사만 보유한 고급 인쇄술이죠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Killer Robot)’ 캠페인을 발족했다.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킬러로봇은 10년 이내에
상용
화 될 것”이라며 “전투 로봇이 제네바 협약 같은 국제규칙을 어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8월 28일에는 유엔 군축 담당 고위대표인 안젤라 케인이 “킬러로봇의 개발을 법적으로 금지해야 한다”고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작동해 반려동물의 실종을 막아 준다.이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하이패스나 홈 CCTV 등
상용
화된 사물인터넷 사례는 많다.미래에는 달려오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신발 덕분에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 무사히 길을 건널 수 있게 되거나, 정해진 알약을 먹으면 위 속에서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WHO의 승인을 받았지만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는 내년 7월
상용
화를 목표로 백신 개발 중이다.감염경로● 이번 서아프리카 사태에서는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에볼라가 전파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에볼라에 감염된 환자의 체액을 통해 전염된다. 에볼라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