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합"(으)로 총 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나스카 그림 등, 외계인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것들이 계속 발견되고 있어.이에 국제연합(UN)은 비밀리에 우리 MIB를 설립했지(믿거나 말거나!). 그리고 이번에 새로운 요원을 뽑아 본격적으로 외계인의 흔적을 찾으려고 해.이 글을 읽고 있는 바로 자네! 자네도 우리와 함께 해 보지 않겠나?1. 모두 어디 ...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순식간에 쓰러졌다. 5000명이 사망하고 1만 5000명이 부상을 당했다. 같은 해 9월 25일 연합군도 똑같은 가스로 독일군을 보복 공격했다. 본격적인 화학무기의 등장이었다. 12월에는 질식작용제인 포스젠가스가, 1917년 7월에는 수포가스가 등장했다. 이 기간에만 화학 무기 희생자가 130만 명에 달했다. 제 ...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예가 필자가 속한 연합뉴스 미디어랩에서 만든 17, 18대 총선 인터랙티브(체험형) 데이터 지도다. 본격적으로 만든 국내 최초의 인터랙티브 선거 데이터 지도로, 정밀한 실제 지도에 지리정보시스템(GIS)과 대용량 선거 데이터를 ...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시에라리온 원주민인 주인공의 명대사다. 영화에서 주인공은 현지 반군세력인 혁명연합전선(RUF)의 무자비한 학살과 침공에 마을을 잃고 아들마저 빼앗긴다. 갓 소년티를 벗어난 아들은 RUF에 의해 10대 반군으로 길러지고 나중에 아빠도 알아보지 못하는 학살 기계로 변한다. 아들을 다시 찾으려는 ... ...
- 개발도상국 환경 문제 해결사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맞춤형 ‘적정기술’ 개발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적정기술이 필요한 곳으로GIST와 국제연합대학(UNU)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국제환경연구소는 적정기술을 개발하고 개발도상국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현재 미국 NGO인 RDI와 협력해 메콩강 유역에 보급 중인 세라믹 필터는 ...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최근 1~2년 사이에 가속기 기반 원전으로 방향을 바꿨다”고 말했다. 벨기에는 유럽연합(EU)과 공동으로 2009년 12월부터 기존 원자로에 선형가속기를 도입한 실험용 토륨 원전 ‘미라(MYRRHA)’를 건설하고 있다. 2014년까지 설계를 마치고 2019년 완공해 2023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방식은 ... ...
- 소리 없이 다가오는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침팬지 대상 실험에서 증명됐다. 따라서 노르아드레날린의 작용이 잘못된다면 전두 연합령의 선택적 기능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감정 제어 기능에는 세로토닌이 작용한다. 세로토닌은 흥분성 신경 전달 물질로 대뇌변연계에 영향을 미쳐서 감정을 조절한다.공황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 ...
- 와인 맛있게 즐기는 수학적인 방법수학동아 l2012년 01호
- 맛있는 와인을 만드는 잔 돌리기 방법이 있을까?최근 스위스 로잔 폴리테크니크 연합학교 연구팀은 와인잔을 흔들었을 때 생기는 물결이 와인의 맛을 결정한다고 생각하고 실험을 진행했다.와인잔의 크기와 와인의 양, 회전 속도를 달리해 와인잔을 돌린 다음, 이 결과를 바탕으로 와인을 흔들었을 ...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국제연합인구기금(UNFPA)은 2011년 인구 70억 시대를 선언하며 80억, 90억, 100억 시대도 함께 예측했다. 80억이 되는 시기는 14년 뒤인 2025년, 90억은 다시 18년 뒤인 2043년이다. 100억은 40년 뒤인 2083년으로 예측했다. 그런데 이 연도 앞에는 물음표가 붙어있다. 100억 인구 달성이 순탄하지는 않을 거란 예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끝에 선 생명’이란 주제로 다산 국제컨퍼런스가 열렸다.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고 극지연구소가 후원한 행사였다. 미국, 프랑스, 일본과 국내 전문가들이 참가해 생명의 기원, 해저 중앙해령과 해저화산에 대한 최신 연구, 차가운 극지방에 사는 미생물과 뜨거운 해저 열수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