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뉴스
"
연결
"(으)로 총 4,60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빛 본지 20년 그래핀, 잠재력 무궁무진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소개하는 글을 실었다. 그래핀은 흑연의 구성 물질인 탄소 원자들이 벌집 모양으로
연결
된 2차원 막이다. 두께가 원자 한 층 수준인 0.35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정도로 얇다. 2004년 영국의 과학자 안드레 가임과 러시아의 과학자 콘스탄틴 노보셀로프는 스카치테이프로 연필심의 재료인 ... ...
인공지능으로 화재도 감지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2
발광부와 빛을 포착하는 센서가 있는데 빛이 센서에 닿으면 비상벨이 울리도록
연결
돼 있어요. 평상시에는 발광부에서 나오는 빛이 센서에 닿지 않아요. 빛은 항상 곧게 직진하는데 센서는 직진 방향의 빛이 닿지 않는 곳에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불이 나서 연기가 경보기 안으로 들어오면 상황이 ... ...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구멍이 숭숭 뚫려 있습니다. 자극 지점에 패치 위치를 맞춘 뒤 구멍을 통해 전선을
연결
하기 위해서입니다. "어때요? 배가 어느 정도 고픈가요?" 필자는 이날 실험을 위해 기상 후 7시간 동안 공복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실험을 위해 아침과 점심을 걸렀습니다. "아무거나 먹고 싶을 정도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인공지능과 물리학의 경계를 허물다
2024.10.11
노벨상을 수상한 것에 대해 의아해하는 시선도 많다. 이번 수상이 물리학과 인공지능의
연결
고리가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낸 것이다. 존 홉필드 교수는 프린스턴대 분자생물학 교수로, 고체물리학자로 경력을 시작해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는 특정 분야에 구애받지 ... ...
노벨상도 받았는데…AI 활용 신약 개발 험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KIST) 뇌과학연구본부 선임연구원은 "단백질은 20종의 아미노산이 복잡한 사슬 구조로
연결
된 형태"라며 "화합물은 단백질 하나보다 더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고 있어 변수가 더 많기 때문에 다루기가 어렵다"고 설명했다. 화합물의 상호작용, 화합물의 결합 등을 계산하는 AI가 개발되면 신약 개발에 ... ...
"삼성디스플레이 공장에 방사선 이용 악취 제거 시스템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일으키는 세포에만 달라붙는 단백질에 방사선을 방출하는 물질인 방사성 동위원소를
연결
해 대상 세포만 정밀타격하는 치료제다. 기존 방사선 치료보다 방사선에 노출되는 범위가 작아 부작용이 적은 게 장점이다. 원자력연은 10여 개의 치료 및 진단용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하는 데 성공해 ... ...
안전하고 오류 없는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있다. ETRI 제공 사물인터넷(IoT)은 여러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고 인터넷에
연결
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국내 연구팀이 재난 통신망, 항공기 운항 관제 등 안전하고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IoT 서비스를 위한 보안 프로토콜 기술 개발에 나섰다. ... ...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새로운 단백질을 설계할 수 있다. 노벨위원회는 "두 발견은 서로 다르지만 밀접하게
연결
돼 있다"고 말했다. 이들의 성과를 활용하면 세상을 혁신할 신약, 나노 물질, 백신 등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이커 교수의 제자 중엔 다수의 한국인 연구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모델이 그림을 그릴 때 사람의 손가락을 여섯 개 만든다거나 얼굴 주름이 이상하게
연결
되는 등 미세한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할 때도 동일한 양상으로 생겨난다. 스타이네거 교수는 "디퓨전 모델을 사용하지 않았던 알파폴드2에서는 없었던 부작용이라 앞으로 많은 ... ...
[노벨상 2024] 새 단백질 찾고 AI로 구조 예측한 과학자 3명 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쓰일 수 있는 단백질을 잇달아 만들었다. 단백질의 기능은 아미노산이 긴 가닥으로
연결
되고 접힌 3차원 구조가 좌우한다. 1970년대부터과학자들은 아미노산 서열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려고 했지만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다. 허사비스와 점퍼는 2020년 알파폴드2라는 AI 모델을 발표해 거의 2억 개의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