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뉴스
"
출력
"(으)로 총 96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미 4세대 원전 '고온가스로' 개발 속도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기본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MMR 실증을 위해 캐나다 온타리오주 원자력 연구소 부지에 열
출력
15메가와트(MW)급 원자로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원자력연은 USNC의 MMR 개념설계에 참여한 데 이어 기본설계에도 함께 참여하고 있다. 원자력연은 2004년부터 정부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통해 ... ...
'으르렁'대는 미국·중국도 손잡는 초대형R&D 프로젝트 ITER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위한 역대 최대 규모의 초대형 국제협력 연구개발(R&D) 프로젝트다. 핵융합반응을 통해 열
출력
500메가와트(MW), 에너지 증폭률 10배를 구현하는 게 목표다. 2006년 ITER 당사국간 국제공동이행협정이 체결된 뒤 각 회원국들은 ITER 장치 건설을 위한 조달품을 개발·제작하고 있으며 2025년 첫 번째 ... ...
'핵융합' 실증할 국제실험로 조립 착수…첫 부품은 한국産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KSTAR)보다 ITER는 부피가 약 27배 크다. ITER는 신고리원전의 약 6분의 1~5분의 1 수준인 열
출력
500MW의 실험로로 대규모 핵융합의 과학적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투입한 에너지 대비 생산한 에너지가 10배 이상을 달성할 수 있는지(에너지 증폭률 10 이상)가 중요한 지표다. ... ...
성능 50% 향상된 3D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구조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보다 성능이 50% 향상됐다. 작동온도 500도 기준 13와트 이상의
출력
이 나왔으며 500시간 이상 구동해도 성능 저하가 거의 없었다. 김형철 KIST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차세대 세라믹 연료전지 상용화를 위한 기술 한계를 뛰어넘은 결과”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 ...
전량 수입 의존 선박용 레이더 국산화 개발 착수
연합뉴스
l
2020.07.09
실정이다. 중소조선연구원 등은 향후 3년에 걸려 '능동형 자율회피 기술이 접목된 고
출력
선박용 디지털 레이더 장치'를 개발할 계획이다. 50여명의 전문 연구인력이 참여해 레이더 안테나를 비롯하여 마그네트론/SSPA 방식의 신호처리부, 상선·어선용 레이더 전시기(MFD) 등의 제품을 개발한다. ... ...
여드름과 염증 치료하는 투명 온열패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프린팅 기법은 정전기적 힘으로 전극물질과 전해질을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정밀하게
출력
한다. 전극과 배터리는 통신 회로와 연결돼 무선으로 패치를 충전할 수 있다. 연구팀은 개발한 패치를 피부에 1분 정도 온열을 가한 후 피부의 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혈류량이 13분 동안 ... ...
5G 휴대전화·기지국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만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1.6W의 1.5~5.8%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올해 6월까지 출시된 5G 휴대전화는 최대
출력
상태에서 전자파흡수율 평균이 기준 대비 43.1%로 나타나 실제 환경에서의 전자파흡수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5기가헤르츠(GHz) 5G 기지국은 최대 전자파를 측정하기 위해 고용량 데이터를 계속해 ... ...
20분만에 폐차된 슈퍼카
팝뉴스
l
2020.07.08
아무리 엔진
출력
이 높은 차라고 해도 조심조심 운전해야 한다. 왜냐하면 아무리 비싸고 튼튼한 자동차도 부서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은 영국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인수한지 20분만에 람보르기니가 대파되었다. 해외 네티즌들은 수리 비용이 너무 많이 나올 것 같아 차라리 폐차를 해야 ... ...
홀로그램 보여주는 입체 디스플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양면형 디스플레이,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를 보여주는 홀로그램, 모든 방향으로
출력
이 가능한 육면체 디스플레이를 구현했다. 고흥조 교수는 “유연한 전자소자의 변형을 통한 3차원 전자소자 개발에서 소자가 지녀야 할 이상적인 회로 구조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3차원 구조로 변형할 수 ... ...
업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어디까지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전도도가 높은 소재를 발견하지 못해 에너지를 많이 저장할 수 있지만 충분한
출력
을 내지 못해서다. 리튬이온은 액체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지만 고체에서는 원자 격자 속에 난 길을 따라야 한다. 전고체 배터리 개념은 1980년대 처음 제시됐으나 한동안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다 일본 도요타가 201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