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뉴스
"
출력
"(으)로 총 96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진 이미지 자유자재로 바꾸는 AI 반도체 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6
‘GANPU’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처리해야 할 작업량을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기술과 입
출력
시 0으로 나타나는 데이터를 연산에서 제외하는 기법, 인공신경망의 연결강도 데이터에서 지수 부분만을 사용하는 방법을 GANPU에 모두 탑재했다. 그 결과 기존 심층 신경망 학습 반도체 대비 4.8배 ... ...
초음파로 몸속 의료기기 충전하는 시대 연다…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상우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1
피하지방층 0.5cm 깊이에 삽입했을 때 1.2V 전압과 98마이크로암페어(㎂·100만분의 1A) 전류
출력
을 보였다. 관련 연구결과는 지난해 8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기술은 에너지벤처기업 ‘에너지마이닝’에 지난해 이전됐다. 김 교수는 “초음파로 정전기를 만들어 발전과 충전을 ... ...
ETRI, 유연한 전자소자 시제품 제작 대행 서비스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8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스킨트로닉스를 위한 감각 입
출력
패널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ETRI 관계자는 “자세한 사항은 가까운 시일 내 공고를 통해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 ...
"4초에 영화 1편 저장" 삼성, 3배 빨라진 스마트폰 메모리 양산
연합뉴스
l
2020.03.17
2천100MB로 기존과 같고 임의 읽기·쓰기 속도(스토리지 메모리와 기기 간 초당 데이터 입
출력
횟수)는 기존보다 빨라졌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최철 부사장은 "소비자들이 데이터를 저장할 때 느꼈던 답답함을 말끔하게 해결했다"며 "올해 모바일 제조사들이 요구하는 물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 ...
과학동아 사이언스 보드 함께 탈 연구자 3人
과학동아
l
2020.03.14
모두 반도체와 관련돼 있다는 점이다. 가령 반도체와 관련 없어 보이는 플라스마와 고
출력
레이저는 반도체 장비 등 제조에 필수적인 요소다. 반도체 제조의 전 과정을 연구한 셈이다. 그 과정에서 탁월한 성과를 냈다. 반도체 칩을 기판에 연결하는 패키징 공정에 실리콘 관통전극(TSV) 기술을 ... ...
손톱보다 작은 '초소형 전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0
떨어지는 현상을 이용해 전기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장치다. 리튬을 쓰는 이차전지보다
출력
이 크고 수명이 길다. 반도체 제작 공정을 이용하면 크기를 줄이는 것도 가능해 사물인터넷(IoT) 기기에 활용하기 좋으나 공정에 필요한 열이나 화학물질이 주변 전자 부품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 ...
스티커처럼 자유롭게 뗐다 붙이는 이차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5
마이크로 슈퍼커패시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극초단 레이저는 순간적으로 최대
출력
을 낼 수 있기 때문에 고팽창 그래핀 전극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에 접착 특성을 갖는 고분자 재료를 고팽창 그래핀 내부에 적용해 접착성을 유지하면서도 전극 성능과 내구성이 확보된 스티커 형태의 ... ...
한울 4호기 재가동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2.20
“지금까지의 정기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울 4호기의 임계를 허용한다”며 “앞으로
출력
상승시험 등 후속검사 10개를 통해 안정성을 최종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날 수 있을 만큼 가벼운 연료전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KIST 제공 연구팀이 개발한 연료전지는 가습 없이 수소와 산소를 공급해도 ㎠당 850mW의
출력
과 700시간 이상 지속되는 안정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습 없이 동작한 다른 연료전지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났다. 김 연구원은 “수소전기차에 주로 쓰이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더욱 가볍고 단순하게 ... ...
고리 3호기 재가동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고리3호기 제어봉 케이블 연결부 손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향후
출력
상승시험 등 후속검사 10개를 통해 안전성을 최종 확인하고 정기검사 합격통보를 할 예정이다.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