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뉴스
"
출력
"(으)로 총 9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라카 원전의 시운전을 지켜보며
2020.08.05
월에 핵연료를 장전했고, 이제 정상 가동을 위한 임계 상태에 도달했다. 앞으로 발전소의
출력
을 높이고, 송전 선로의 성능만 확인하면 본격적인 상업용 전력생산이 시작된다. UAE에게는 그야말로 ‘신의 축복’(바라카)이 실현되는 셈이다. 모래 폭풍이 휘몰아치는 뜨거운 사막에서의 대규모 토목 ... ...
KAIST,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 'NVMe' 공짜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4
서버와 비교한 테스트에서 인텔의 고성능 저장장치 옵테인 SSD보다 대역폭은 76% 높고 입
출력
지연시간은 68% 짧았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를 공개했기 때문에 기존 SSD 기술을 이끄는 몇몇 최고 기업들만 갖고 있던 컨트롤러를 대학과 연구소에서도 무료로 쓸 수 있다”며 “초고속 차세대 ... ...
'VR·AR은 게임, 아니고 산업' 정부 틀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0년부터 2022년까지는 시청각 중심에 머무른다면, 2023년부터 2025년까지는 표정과 촉감을 입
출력
에 사용하고 2026년부터는 오감과 뇌를 모두 활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2023년 이후에는 VR과 AR로 여러 사람이 함께 협업할 수 있고 시스템에도 AI가 결합돼 점차 지능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규제혁신 ... ...
한·미 4세대 원전 '고온가스로' 개발 속도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기본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MMR 실증을 위해 캐나다 온타리오주 원자력 연구소 부지에 열
출력
15메가와트(MW)급 원자로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원자력연은 USNC의 MMR 개념설계에 참여한 데 이어 기본설계에도 함께 참여하고 있다. 원자력연은 2004년부터 정부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통해 ... ...
'으르렁'대는 미국·중국도 손잡는 초대형R&D 프로젝트 ITER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위한 역대 최대 규모의 초대형 국제협력 연구개발(R&D) 프로젝트다. 핵융합반응을 통해 열
출력
500메가와트(MW), 에너지 증폭률 10배를 구현하는 게 목표다. 2006년 ITER 당사국간 국제공동이행협정이 체결된 뒤 각 회원국들은 ITER 장치 건설을 위한 조달품을 개발·제작하고 있으며 2025년 첫 번째 ... ...
'핵융합' 실증할 국제실험로 조립 착수…첫 부품은 한국産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KSTAR)보다 ITER는 부피가 약 27배 크다. ITER는 신고리원전의 약 6분의 1~5분의 1 수준인 열
출력
500MW의 실험로로 대규모 핵융합의 과학적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투입한 에너지 대비 생산한 에너지가 10배 이상을 달성할 수 있는지(에너지 증폭률 10 이상)가 중요한 지표다. ... ...
성능 50% 향상된 3D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구조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보다 성능이 50% 향상됐다. 작동온도 500도 기준 13와트 이상의
출력
이 나왔으며 500시간 이상 구동해도 성능 저하가 거의 없었다. 김형철 KIST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차세대 세라믹 연료전지 상용화를 위한 기술 한계를 뛰어넘은 결과”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 ...
전량 수입 의존 선박용 레이더 국산화 개발 착수
연합뉴스
l
2020.07.09
실정이다. 중소조선연구원 등은 향후 3년에 걸려 '능동형 자율회피 기술이 접목된 고
출력
선박용 디지털 레이더 장치'를 개발할 계획이다. 50여명의 전문 연구인력이 참여해 레이더 안테나를 비롯하여 마그네트론/SSPA 방식의 신호처리부, 상선·어선용 레이더 전시기(MFD) 등의 제품을 개발한다. ... ...
여드름과 염증 치료하는 투명 온열패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프린팅 기법은 정전기적 힘으로 전극물질과 전해질을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정밀하게
출력
한다. 전극과 배터리는 통신 회로와 연결돼 무선으로 패치를 충전할 수 있다. 연구팀은 개발한 패치를 피부에 1분 정도 온열을 가한 후 피부의 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혈류량이 13분 동안 ... ...
5G 휴대전화·기지국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만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1.6W의 1.5~5.8%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올해 6월까지 출시된 5G 휴대전화는 최대
출력
상태에서 전자파흡수율 평균이 기준 대비 43.1%로 나타나 실제 환경에서의 전자파흡수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5기가헤르츠(GHz) 5G 기지국은 최대 전자파를 측정하기 위해 고용량 데이터를 계속해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