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노"(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신 업데이트] 코로나 백신 임상 3상 10종…전체 임상 42종동아사이언스 l2020.10.04
- 제약사 화이자 등 두 곳이 각각 시도 중이다. 이들은 유전물질인 리보핵산(RNA)를 지방나노입자 등에 포장해 인체에 주입하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영하 40~영하 70도의 극저온에서 운송해야 하는 등 기술적 어려움이 많은 편이다. 바이러스를 화학물질 등으로 무력화한 뒤 주입하는 가장 전통적인 ... ...
-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논문 인용 최상위 0.01% 연구자에 올라동아사이언스 l2020.09.23
- 우수연구자에 선정된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는 모두 네 명이다. 2014년 유룡 KAIST 교수(IBS 나노물질및화학반응연구단장)이 기능성 다공성물질 설계 연구로, 2017년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가 페로브스카이트 연구로, 2018년 로드니 루오프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장) 각각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2020.09.22
- 한편 정상 생쥐도 보랏빛과 파란빛, 빨간빛으로 이뤄진 백색광에서 파란빛(파장 480나노미터) 영역을 끄는 순간 열생성 반응이 약해지며 체온이 바로 떨어졌다. 옵신3이 자극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방의 저장고인 백색지방세포 표면에 있는 옵신3이 어떻게 갈색지방세포의 열생성을 ... ...
-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 "2030년 사람 뇌와 AI 잇는 인터페이스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20.09.18
- 현실이 되니 정말 놀라웠다”고 전했다. 그간 커즈와일은 유전공학(Genetics), 나노기술(Nanotechnology), 로봇공학(Robotics) 등 이른바 ‘GNR’ 기술에서 급격한 발전이 이뤄지면서 특이점의 시대에 가까워지고 있고, 가장 큰 변화는 우리 인체에서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와 관련해 커즈와일은 ... ...
- [뉴스속으로]중국은 왜 천인계획에 그토록 공을 들였나동아사이언스 l2020.09.17
- 체포됐다. 리버 교수는 2000년대 나노 물질을 합성하고 나노디바이스를 개발하는 등 나노 기술 연구에서는 최고의 과학자로 꼽혀왔다. 그는 2012년 화학상으로는 노벨상 다음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울프상(Wolf Prize in Chemistry)을 받았다. 미 외교전문지 디플로맷은 1월 29일자에 이 사건을 ... ...
- [백신 업데이트]노바백스 '단백질 합성' 백신 후보, 임상 1상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0.09.03
- 단백질 백신은 유전자 재조합 방법으로 유전물질로부터 항원 단백질을 생산한 뒤 이를 나노입자 형태로 체내에 투입하는 백신이다. NVX-CoV2373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과 주변 당 분자를 제조해 보조 물질과 함께 ... ...
- 교수 638명과 산업계 학계서 활약하는 졸업생 6만2000명이 KAIST의 힘동아사이언스 l2020.09.03
- 인식하는 AI 유연 압전음성센서와 에너지 응용을 위한 2차원 소재, 첨단 광유전학 기술, 나노물질 기반 암 정밀의학, 유연 소자 및 소재기술, 다중 광산란을 이용한 무질서 광학기술 등이 다뤄졌다. 교수들의 기술 상용화와 창업활동도 소개됐다. 박용근 KAIST 물리학과가 세운 ‘토모큐브’를 비롯해 ... ...
- 먹는 항암제 개발한 원큐어젠 '연구소기업 1000호'동아사이언스 l2020.09.02
- 기술 분야별로 보면 정보기술(IT) 기업이 299개, 바이오기술(BT) 기업이 239개로 가장 많다. 나노기술(NT) 기업이 59개, 환경공학기술(ET) 기업이 85개, 나머지 기업이 319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2019년 연구소기업의 총매출액은 7394억 원, 고용 인원은 3910명이다. 연구소기업의 5년 차 생존율은 75%로 ... ...
- 몸속 아픈 곳 찾아가 약 주고 스르르 녹는 초소형 캡슐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20.08.29
- 흡수되거나 체외로 배출되는 생분해성 물질을 이용해 약물전달체를 개발했다. 100나노미터 (nm∙10억 분의 1m) 수준의 초박막형 실리콘과 생체적합성이 높은 금속물질을 활용해 전체 두께가 50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수준으로 얇은 약물전달체다. 무선으로 작동이 가능해 원할 때 작동시킬 수 ... ...
- "공기 중 코로나 바이러스, 먼지 타고 퍼진다"동아사이언스 l2020.08.18
- 레이저 회절 분석 원리로 입자의 분포도 및 입도를 분석하는 장비로 수 nm (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입자를 분석할 수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건강한 기피니그는 우리를 돌아다니며 초당 1000개의 입자를 내뿜었다. 기니피그가 숨을 쉴 때마다 입자가 매우 일정하게 방출됐다.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