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면
상류
수상
상급
귀족사회
d라이브러리
"
물위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을 둘로 가른 번개
과학동아
l
200704
사진의 배경은 강원도 대관령 양떼목장이다.장려상-물안개 김택수(46)찬 공기가 따뜻한
물위
를 지날 때 물안개가 인다. 서리가 내린 맑은 날 아침노을이 물안개와 어우러졌다.장려상-핵우산 같은 노을 최낙민(58)일몰 때 구름과 산봉우리가 붉게 물들었다. 태양빛이 대기층을 통과하면서 산란돼 붉은 ... ...
물위
에 예술이 흐른다
과학동아
l
200611
않은 것 같은 큰 돌덩이가
물위
에 떠있는데, 이는 미적인 아름다움보다는 무거운 돌이
물위
에 떠있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표현했다.독일의 톰 프뤼흐틀(Tom Fruechtl)의 ‘워터루프’는 파이프에서 연신 물이 쏟아지는데, 이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하천에서 물을 뽑아 올리도록 설계한 것이다.한국의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2
부피가 약 10분의 1 정도 더 커지게 됩니다.부피가 커진 만큼 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물위
에 뜨는 것이죠. 만약 물이 다른 물질들처럼 고체로 변하면서 아래로 가라앉으면 어떻게 될까요?아마 강이나 호수의 생물들은 모두 얼어 죽고 말 거예요. 하지만 다행히 얼음이 물에 뜨기 때문에 얼음이 표면을 ... ...
물 속에서의 무게와 압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7
아래로 가라앉는다. 부력탱크에 물이 채워지면서 밀도가 커지기 때문이다. 다시
물위
로 떠오르려면 부력탱크의 물을 펌프로 퍼내고 공기가 채워지도록 하면 된다.빙산의 일각?!보기만 해도 엄청나게 무거워 보이는 빙산은 어떻게 바닷물에 떠 있을까? 겨울철 물이 담긴 유리병을 밖에 두면 깨져있는 ... ...
2. "열려라 주가"
과학동아
l
200512
일이 엄청난 주가 폭등과 폭락을 불러올 수 있다.브라운운동과 열전도방정식꽃가루가
물위
에서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브라운운동은 주가의 흐름과 비슷하다. 브라운운동에서 파생한 열전도방정식이 금융상품 중 가장 복잡한 파생상품의 가격을 결정할 때 이용된다.파생상품 | 상품의 미래 가격을 ... ...
"잠수함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
거품을 만들며 물 위로 떠오르려고 해요. 그 이산화탄소의 힘이 깡통 잠수함을
물위
로 끌어올려 준 것이랍니다.” 아이디어. 2'실제 잠수함의 원리도 이ㅣ와 같지요'에게게∼! 뭔가거창한것인줄알았더니달랑빈페트병에 고무관을 연결한 것뿐이잖아. 그렇게 간단한 모습으로 어떻게 복잡한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06
받치고 있는 기저막을 코르티 기관이라고 한다. 내이에는 물이 차 있으므로 이들은 마치
물위
에 떠있는 것과 같다. 특히 기저막과 외유모세포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소리에너지를 받아 액체, 즉 물 속에서 진동하면서 주파수별 소리 정보를 분석한다.그런데 외이도에서 들어오는 진동에너지가 물이 ... ...
소금쟁이 물에 뜨는 비결은 나노구조
과학동아
l
200412
숭숭 돋아나 있고 털에는 나노크기의 홈이 패여 있었다. 이런 복잡한 구조가 소금쟁이가
물위
를 걷는 것과 연관이 있을까. 지금까지는 왁스를 분비해 물에 가라앉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연구자들은 소금쟁이의 다리가 물 표면 밑으로 4.38mm까지 들어가도 물의 표면이 유지되고 몸무게의 1 ... ...
물위
를 걷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410
물에 떠 있을 수 있다. 발을 수면 아래쪽으로 밀어내면 물이 다시 밀어내는 원리로
물위
를 걷는다. 세티 박사 연구팀도 이에 착안했다. 로봇의 구조와 원리는 간단하다. 가벼운 탄소섬유와 플라스틱으로 몸체를 만들고 전기가 통하면 모양이 변하는 ‘압전장치’ 로 다리근육을 대신했다. 로봇을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09
한쪽 뇌가 잠을 자는 동안 다른 쪽 뇌는 정상적으로 활동한다. 때문에 24시간 지속적으로
물위
로 올라와 호흡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도 돌고래처럼 번갈아 가면서 한쪽 뇌만 잠을 잘 수 있도록 뇌를 훈련시킨다면 24시간 동안 공부하거나 일할 수 있는 ‘24시간형 인간’이 될 수 있지 않을까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