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면
상류
수상
상급
귀족사회
d라이브러리
"
물위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11
바와 같이 밀도와 확산이라는 개념을 복합적으로 관련시킬 때 유용하다. 또 단순히
물위
에 잉크를 떨어뜨렸을 때 관찰할 수 있는 퍼짐이라는 개념에 갈등을 일으키기 위한 것도 아니다. 한마디로 본 수업의 목적과는 전혀 다른 차원이라는 말이다 ... ...
2. 태양빛에서 형광색까지
과학동아
l
199908
이러한 간섭색이 많다. 간섭색은 관찰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한다. 비온 날 고여있는
물위
에 기름이 퍼져있는 경우 유막의 두께에 따른 간섭색이 나타나는 것은 손쉽게 볼 수 있다.이밖에 유난히 채도가 높은 형광색이 있다. 형광색은 에너지가 높은 짧은 파장의 빛을 흡수해 그보다 긴 파장의 빛을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07
가지' (아카데미 서적, 발행 예정) 중에 흥미로운 것을 선택해 보여준다.① 물과 기름 사이
물위
에 기름을 부으면 서로 섞이지 않는다. 여기에 얼음을 넣으면 어떻게 될까. 플라스틱이나 다른 것들을 넣으면 또 어떻게 될까?■왜 그럴까?얼음은 물과 기름의 경계 지점에 뜬다. 왜냐하면 얼음의 밀도(0.9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07
L고, 보통 남아있는 공기량도 1.2-1.4L가 된다. 이것은 물 밀도의 8배나 되는 철로 만든 배가
물위
에 뜰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다. 즉 물체가 부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부피를 크게 만든다는 얘기다.그렇다고 물 속으로 깊이 들어가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물체가 물 속에 가라앉으려면 물체의 ... ...
신무기 경연장 제1차 세계대전
과학동아
l
199903
그런데 20세기 들어 가솔린기관 대신 힘 좋은 디젤기관이 등장함에 따라 잠수함(
물위
에선 디젤기관으로, 물속에서는 전기모터로 추진)은 기동성과 안정성이 향상됐다. 덕분에 대형으로 제작할 수 있었다.독일은 전쟁 막바지인 1917년 2월 U보트를 이용해 ‘무제한 잠수함작전’을 펼쳤다. 이는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10
내려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난다. 반대로 소유즈 승무원이 아폴로로 건너가면 잠수부가
물위
로 떠올라오는 것과 같아, 잘못하면 혈액 속에 녹아 있던 질소가 거품으로 변해 잠수병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도킹장치에는 서로의 기압에 적응할 수 있는 완충장치가 필요했다. 아폴로에서 소유즈로 가기 ... ...
고래의 노래를 듣자
과학동아
l
199808
전설의 고향'에 등장하는 배경음악처럼 말이다.고래의 소리는 바닷속 수km까지 전달되며,
물위
에서도 들을 수 있다. 어떤 소리는 쥐가 찍찍거리는 것처럼 높고, 어떤 소리는 사자가 으르릉거리는 것처럼 낮다. 그러나 많은 소리는 너무 진동수가 적어 인간에게 들리지 않는다.혹등고래는 길고 다양한 ... ...
무인도 생존법
과학동아
l
199808
등을 사냥해야 한다. 물고기를 얻는 방법 중에 재미있는 것이 있다. 큰 돌을 이용해
물위
로 조금 나와있는 돌 위를 내려치는 것이다. 그러면 큰돌의 충격량이 물 속까지 전해져 물고기들을 순간적으로 기절시킨다. 그 후 돌을 들어보면 그 아래 작은 물고기들이 기절해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 ...
신나는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808
선체 양쪽에 있는 탱크이다. 이것을 밸러스트 탱크(bellast tank)라고 하는데 잠수함이
물위
에 떠 있을 때는 공기로 가득 차 있게 된다. 잠수함이 물 속으로 들어갈 때는 탱크 안으로 바닷물이 들어오면서 선체가 무거워져 가라앉게 되는데, 어느 정도 깊이에서 떠있게 하려면 바닷물이 들어오는 밸브를 ... ...
주방속의 과학실험
과학동아
l
199806
느낄 수 있는 현상이다. 자연에서 소금쟁이처럼 가벼운 곤충들이 물의 표면장력 때문에
물위
를 걸어다닐 수 있다는 사실도 기억해둘 만하다.신과람박사의 실험파일1. 학교에서는 황가루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노란색의 황가루가 눈에 잘 보이기 때문이다. 황가루의 밀도는 물의 2.7배 정도이다.2.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