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변환"(으)로 총 1,06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02
- 그리고는 포도당 산화효소가 들어있는 센서를 이용해 액체의 산성 정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혈액을 추출하지 않기 때문에 통증이 없고, 실시간으로 혈당 수치를 알 수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8월 황교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박사팀이 그래핀 위에 수십 ㎛ ... ...
-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02
- “연구 내용을 서로 교류할 기회가 DGIST에는 많아요. 일 년에 한 번 하는 융복합연구 페스티벌이나 매월 둘째 주와 넷째 주 화요일에 열리는 소규모 세미나도 있고요. ... 바뀔 때 금속이 있어야 하는데, 이 금속에도 나노 디자인을 입혀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효율을 높이는 게 목표이다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01
-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기존의 2진법 소자를 이용해 2진 신호를 0과 1, 2 세 가지 상태로 변환하는 집적회로를 만드는 방법과, 새로운 소자를 이용해 세 가지 상태를 모두 나타내게 만드는 방법이다. 집적회로를 잘 설계해 전류 신호를 세 가지 상태로 나타내려는 방식이다. 기존의 반도체 기술을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01
- 때문에 회로가 아주 복잡했다”며 “이번 연구는 0, 1, 2라는 입력값을 다시 2진법으로 변환해 계산하는 방식을 탈피해 복잡도를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말했다.하지만 덧셈기와 곱셈기는 설계의 기본에 불과하다. 강 교수는 “아직 3진법 소자를 개발하는 중이라 완벽한 논리 회로를 설계하기가 ...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과학동아 l201701
- EEG)를 감지하는 장치다. 수집한 EEG 데이터를 작가가 설계한 시스템을 통해 3차원 형태로 변환한 뒤, 3D 프린터로 찍어낸다. 최두은 아트센터 나비 겸임 큐레이터는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 감정의 본질과 그 역할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싶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은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12
- 자신의 RNA 정보를 이용해 DNA를 합성한뒤, 사람의 DNA에 끼어 들어간다. 이렇게 RNA가 DNA로 변환하는 과정을 역전사라고 하는데, HIV가 갖고 있는 역전사 효소가 이 과정을 매개한다. 트루바다 같은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은 이 역전사 효소를 억제한다. HIV의 증식을 막아 에이즈로의 진행을 늦추고, 이미 ... ...
- [수학동아클리닉] 관계를 알아보는 정비례와 반비례수학동아 l201611
- ‘비례한다’고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정비례의 예로는 단위의 변환 관계, 환율 등이 있습니다. 반비례의 예로는 지레의 법칙, 넓이가 같은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 관계, 일정한 거리를 이동할 때 속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 등이 있습니다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11
- 읽어낼 수 있다. 이 신호는 로봇 의수에 내장된 증폭기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신호 변환기)를 거쳐 의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미리 만들어진 프로그램에 따라 어떤 신경이 신호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알아내서 손목이나 손가락에 연결된 모터를 작동시킨다. 이런 ... ...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11
- 떠올리고, 120° 회전해 보세요. 여전히 정삼각형이죠? 따라서 정삼각형은 120° 회전 변환을 해도 모양이 같은 대칭 도형이에요. 사실 정삼각형에는 이 밖에도 5가지 대칭이 더 숨어 있어요. 240°, 360° 회전 이동과 한 꼭짓점과 마주보는 대변의 중심을 이은 직선을 대칭축으로 하는 3가지 반사가 그 ... ...
-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과학동아 l201611
- 콘셀라이스 교수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심우주 영상을 모아 3차원으로 변환했다. 사진에는 별들이 2차원 평면에 배열돼 있지만 사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포가 달라지는 3차원 공간에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3차원 이미지에서 은하의 개수를 셌다. 또 망원경으로 촬영할 수 없는 우주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