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경
변형
전환
개종
변질
변용
d라이브러리
"
변환
"(으)로 총 1,06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지네를 닮은 로봇
수학동아
l
201610
지네 몸통의 높낮이가 어떻게 바뀌는지 분석했습니다.이때 사용한 도구가 바로 ‘푸리에
변환
’입니다. 1772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수학자 ‘조제프 푸리에’가 만든 이 수학적 기법은 시간에 따라 파동이 변하는 함수를 분석하는 데 주로 쓰입니다.그 결과 지네 로봇의 경우 몸통과 몸통 사이를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
수학동아
l
201610
총 4명으로 이뤄진 중력파 연구팀이 있다. 연구팀은 ‘힐베르트-후앙
변환
’이라는 수학 이론을 이용해 중력파와 잡음을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 잡음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해 데이터의 질을 올릴 수 있다. 기계학습을 활용해 잡음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소프트웨어도 만들고 ... ...
[소프트웨어] 숫자 바꾸기의 달인 진법
변환
기
수학동아
l
201610
컴퓨터 나라의 언어, 2진수를 발견한 사람은 독일의 수학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예요. 당시 수학자들은 2진수의 발견이 별 것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컴퓨터가 생기기 전까지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수처럼 여겨졌으니까요. 사과 10개를 1010이라고 표현해야 했으니 얼마나 불편했겠어요. 그런데 ... ...
[과학뉴스]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
과학동아
l
201610
일어나면서 각 페이지를 인식할 수도 있다.연구팀은 이 신호를 수신한 뒤 알파벳으로
변환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20페이지 중에서 9페이지에 적힌 문자를 식별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오래된 서적들을 분석하고 보존할 때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헤쉬멧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10
성과를 가지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랜트를 조금 받긴 했지만, 중성미자 진동
변환
을 발견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는 아니었습니다. 정부에서 슈퍼카미오칸데를 중요한 과학실험장치로 선정하고 건설 예산을 지원해 준 것이 중요했습니다. 슈퍼카미오칸데가 없었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었을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201609
대체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크게 세 가지 단계로 세분화된다.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하는 과정, 전기에너지로 물을 분해해 산소를 만드는 과정,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환원해 다른 물질로 만드는 과정이다. 이중 물을 분해하거나 이산화탄소를 전환하는 과정에는 각각 촉매가 들어가야 한다.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
과학동아
l
201609
종합해야 한다. 더구나 치아 임플란트나 인공 관절을 쓴 경우는 사진을 수학적으로
변환
해 처리하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게 현재 의료 영상 분야에서 큰 화두다.김상연 마지막으로 한국의 수학 연구 수준이 궁금하다. 외국에서는 수학에 대한 관심도 높고 취직도 잘 되는 등 전반적으로 ... ...
[수학뉴스] 미술품 가짜 논란, 수학으로 밝힌다
수학동아
l
201609
둔 ‘웨이블릿
변환
’을 국내 최초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웨이블릿
변환
은 2008년 미국 듀크대 수학과 잉그리드 도비시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입니다. 우선 원작 그림을 디지털 이미지로 바꿉니다. 그리고 그림의 일부를 확대한 뒤 물감이 칠해진 층별로 나눠 붓칠을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08
푸리에
변환
을 이용해서 복잡하게 증명했습니다. 그런데 크루트와 레브, 파흐는 푸리에
변환
을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학생 정도면 이해할 수 있는 수학만 이용해 증명했지요. 논문에서 증명은 2쪽도 안 될 정도로 매우 짧았습니다.이처럼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면 많은 수학자들이 관심을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08
이 데이터 용량이 무려 1TB(테라바이트)에 이른다. 이 이미지 정보를 다시 염기서열문자로
변환
해 용량을 수백 GB로 줄인다.생명의료HPC연구센터에서는 환자에게서 얻은 염기서열 정보를 정상인과 비교해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를 찾아낸다. 최근에는 수천 명에서 수만 명 단위로 특정 질병을 가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