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존
고정
영구
내구
붙박이
불역성
항구성
d라이브러리
"
불변
"(으)로 총 18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탐정 M 마술열차 살인 사건
수학동아
l
201210
에이스의 존재조차 밝히지 못했지. 흐흐흐…. 수학탐정 M, 넌 결코 날 찾을 수 없을 거야!*
불변
량 : 방금 일어난 일에 상관없이 원래의 값을 유지하는 성질을 말한다 ... ...
태양~지구 거리 정해졌다
과학동아
l
201210
천문단위(astronomical unit) ‘au’가 정확한 수치를 갖게 됐다. 이제 태양-지구간 거리는
불변
이 됐다는 말이기도 하다.최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천문협회에서 천문학자들은 au를 1495억 9787만 700m라는 정수로 표현하는 데 만장일치로 합의했다.au는 태양계 내부 및 외부의 천체 거리를 나타낼 때 ... ...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07
바뀌는데, 어느 순간 벽을 만나면 그 모습이 확 바뀐다. 이 때 벽을 기준으로 두 쌍곡면의
불변
량은 거울대칭을 이룬다. 수학자들은 이 벽을 지나갈 수 있는 수학공식을 찾기 위해 연구한다.끈 이론의 1일자, 에드워드 위튼콘체비치 교수의 거울대칭 연구는 제가 연구하는 끈 이론에서 이용하죠. 끈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06
어떤 존재일까. 이들은 성경에서 예수를 유혹했던 악마처럼 엄청난 힘을 갖고 있다. 만고
불변
의 진리라 믿는 과학 법칙의 틈새를 파고 들어 과학자들을 혼란에 빠트린다. 때때로 이론과 이론이 부딪혀 발생하는 모순을 들이밀며 세기의 천재들을 곤혹스럽게 한다. 하지만 유혹을 이겨내면 값진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05
장기적으로 식단을 바꾼다면 장유형도 바뀔 가능성이 크다. 적어도 장유형은 혈액형처럼
불변
의 특성은 아닌 셈이다.한편 장유형이 식습관과 관련돼 있다면 장유형에 따라 특정한 질병에 걸릴 위험성에 차이가 날 수 있지 않을까. 즉 장유형1인 사람들은 심혈관계 질환 같은 서구식 식단과 관련된 ... ...
사영기하학, 파스칼의 육각형 탐구
과학동아
l
201205
없는지 다룬 내용이다. 파스칼의 ‘신비의 육각형’ 정리를 다른 도형에 적용해
불변
성과 규칙성을 찾기 위해 노력한 모습이 보기 좋다. 다만 좀더 다양한 다각형을 정밀하게 조사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평면도형뿐만 아니라 입체도형에 대해서도 사영 변환을 실험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실제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05
다양한 기준이 필요하다.매듭의 고유한 성질을 나타내는 값을 ‘
불변
량’이라고 하는데,
불변
량은 교차점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풀림수’는 복잡하게 꼬여 있는 매듭에서 교차점을 몇 번 바꾸면 풀리는지를 나타내는 수다. 풀림수가 1이면 한 번 교차점을 바꾸면 풀리고, 2이면 2번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04
한 동일한 실험의 결과도 같다. 로렌츠 대칭성 덕분에 특수상대성이론은 광속
불변
의 원리를 이끌어냈다.빛의 속도가 우주 어디서나 변하지 않는다는 아인슈타인의 가설은 19세기 물리학자들이 온 우주 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을 것이라고 상상했던 가상의 물질인 에테르를 추방시켰다. 당시 ... ...
당연한 소재, 새로운 발견
과학동아
l
201111
연구활동을 시작할 때 새롭고 특이한 주제를 하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너무도 당연히
불변
이라 생각한 물리량도 사실은 변하는 값일 수 있습니다. 알려진 것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결과가 나옵니다. 도전해 봅시다. ※ 이 코너에서는 생활 속에서 탐구 주제를 찾아 연구하고 연구보고서를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10
양은 실제로 늘 점점 커지거나 아니면 점점 작아지는 양이라야 할 겁니다. 이런 단조적인
불변
량을 이용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다행히 이런 이동에서 잘 알려진 양이 한 가지 있습니다. 각각의 사람이 있는 좌표(방 호수)의 제곱의 합Q가 그것입니다(네제곱의 합 등을 대신 써도 됨).k²+(k+1)²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