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부
높은 자리
상좌
윗부분
상란
d라이브러리
"
상단
"(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
과학동아
l
201212
6100만 명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본드 교수팀은 사용자들 중 일부에게는 페이스북 화면
상단
의 아이콘을 통해 투표 정보를 제공받고 지역 후보와 투표 정보를 알아볼 수 있게 했다. 여기에는 투표를 했다고 밝히는 ‘투표 완료’ 버튼도 있었다. 그리고 다른 그룹에는 ‘투표 완료’ 버튼을 누른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10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카메라로 360°를 촬영해 정보를 얻는다. 이 카메라는 전차의
상단
에 달려있다. 그리고 적외선 영상을 조작해 전차 장갑 위에 설치한 디스플레이 막 위로 표시한다. 블랙폭스 기술을 이용하면 적의 열 영상 장비로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민간인 차량이나 다른 차종으로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10
15분 전을 언제로 정하느냐도 초미의 관심사다.하늘 문이 열리는 시간이 중요한 이유는
상단
에 실려가는 시험 위성을 위해서다. 위성은 태양 에너지가 주요 동력이기 때문에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후 위성의 태양 전지판이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궤도에 진입한 위성이 지구 ... ...
원하는 동영상 콕 찍어 찾는 법
과학동아
l
201208
때문이다. 해당 스크린샷이 포함된 동영상이 데이터베이스에 있다면 자동으로 스크린샷
상단
에 재생 버튼이 표시되며 이를 누르면 된다(엔써즈의 동영상 검색 서비스 ‘이미디오’.).이제 ‘본방 사수’에 실패하더라도 부담없이 화제가 된 장면만 다시 볼 수 있다. 보고 싶은 장면을 찾는 데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07
습도로 인한 탄도의 변화는 중력처럼 탄환의 포물선 운동에 변화를 주기 때문에 스코프
상단
의 크리크를 조절해 보정할 수 있다.아지랑이를 통해 바람을 보듯, 저격수는 습도 또한 눈으로 ‘볼’ 수 있다. 스코프를 통해 먼 거리에 있는 표적을 볼 때 그 모습이 뿌옇게 보일수록 습도가 높다. 습도가 ... ...
- 여수엑스포 빅오의 과학
과학동아
l
201206
워터커튼’ 기법을 도입해 두꺼운 물 입자를 고르게 뿌리는 기술을 개발해냈다. 디오
상단
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많은 노즐이 놓여 있다. 이곳에서 물 입자를 고르게 뿌리면서 투명한 수막을 만드는 것이다. 결국 빅오 쇼의 환상적인 고화질 영상이 입체적이고 실감나는 것은 뛰어난 물 스크린과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06
이름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우주공간으로 일단 로켓을 내보낸 뒤 로켓
상단
부에 실려 있던 캡슐이 대기권을 뚫고 다시 지구로 돌아오도록 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이 실험에서 일본은 재돌입 캡슐의 열차폐막 온도측정, 압력측정, 공기마찰로 인한 감속도 정밀 측정 등 언제든지 ICBM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05
채널이 평면이어서 전자가 지나는 길도 한가지였다. 3D 트랜지스터는 양쪽 옆과
상단
을 합해 3면으로 전류를 흘려 보낸다.전류가 흐르는 채널이 고가도로처럼 솟아오르면서 실리콘 웨이퍼 아래로 새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채널이 짧은 동시에 전류가 흐르는 면적이 늘어나면서 더욱 적은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07
거쳤다. 높이 14m 정도로 나로호의 절반도 안 되는 크기지만 로켓의 자세제어기술, 로켓
상단
부를 열고 위성을 내 보내는 ‘페어링’ 기술도 모두 이 당시 개발했다. 항우연 측은 “KSR-III를 개발해 본 경험이 소형 위성발사체 개발로 이어졌다”고 자평하고 있다.뒤를 이은 로켓은 잘 알려진 KSLV-I, 즉 ... ...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붉게 변하지. 그러면서 엔진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져 엔진이 폭발하는 거야. 가능성 ❷
상단
과 페어링이너무 일찍 분리됐다?러시아 측은 한국이 만든 2단 로켓이나 페어링이 분리되어야 할 시점보다 빨리 분리돼 폭발했을 가능성을 얘기하고 있어. 하지만 나로우주센터에서 비행 영상과 나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