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음식
식품
먹거리
영양물
먹이
음식물
d라이브러리
"
식량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08
몰아간 존재는 역설적으로 인간이 아니었다. 염소였다.염소는 거북보다 인기가 좋은
식량
이었다. 그래서 선원들은 핀타섬에 염소를 방목했고 섬에 다시 들를 때마다 이들을 다시 실었다. 그런데 섬에 방목된 염소들은 핀타섬육지거북들이 즐겨 먹는 키 작은 식물들을 모조리 뜯어먹었다. 항상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
과학동아
l
201607
어떻게 풀어야 할까. 이석영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별 탄생과 AGN 모두 기체를 ‘
식량
’으로 하는 활동”이라며 “은하가 생성된 초기에 별이 폭발적으로 만들어지다가 어느 순간 AGN이 켜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거대질량 블랙홀이 만든 중력장으로 기체가 몰리면서 두 사건이 아주 미세한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
과학동아
l
201605
과정에서 발생하는 질소화합물 데이터를 취합해 계산했다.연구팀은 국제연합(UN)
식량
농업기구(FAO)와 세계비료산업협회(IFA)의 통계자료를 활용했다. 질산성질소(NO3-)와 암모니아(NH3), 아산화질소(N2O) 등 질소화합물의 상당량이 농업과 목축업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산업과 교통 등 주로 소비와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05
이 행성 안에서는 결코 조달될 수 없게 되어버린 거지요. (1킬로칼로리의 섭취 가능한
식량
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도대체 얼마만큼의 에너지가 필요할까요?)이 숲이 그 해답이에요. K박사와 그 추종자들… 기자님의 누님도 모두 이렇게 나무가 되어버린 거예요. 겉보기에는 나무지만 분석해보면 아마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
불러요.지의류는 빵과 샐러드를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해요. 특히 전쟁 중에는 중요한
식량
이었지요. 우리나라에서도 지의류를 약용으로 사용해요. 지의류 속 곰팡이가 합성하는 여러 물질들이 우리 몸에 도움을 주거든요.지의류는 강한 자외선에도 성장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의 재료로 쓰이기도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
수학동아
l
201605
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이 굶주릴 때 하늘에서 내려준 음식이 바로 ‘만나’다.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어 농업을 시작했다는 전 대표와 잘 어울리는 이름 같았다.만나CEA가 채소를 키우는 방법도 이름만큼 독특하다. 이곳에서는 씨앗을 작은 화분에 심고 뿌리가 물에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
과학동아
l
201605
이론적으로 인간이 필요로 하는 모든 분야에서 막대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식량
부족, 의약품 부족, 환경오염, 에너지 고갈 등 인류가 직면한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다. 그러나 그 무궁무진한 응용의 가능성은, 인류가 마주할 막대한 위협의 다른 면이기도 하다.새로운 생명, 어떻게 ... ...
[소프트웨어] 일차 함수 그래프 그리기
수학동아
l
201604
매우 심각했습니다. 싸우다 죽는 사람보다 굶어 죽는 사람이 더 많을 정도였지요. 그런데
식량
을 배달하는 배를 지키는 데 너무 많은 군함을 배치하면 다른 지역의 수비가 약화돼 전쟁에서 지는 일이 벌어졌습니다.고심한 끝에 영국은 적은 수의 함선으로 가능한 많은 배를 지키는 문제를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
과학동아
l
201604
대기의 구성이 지구와 비슷한 바이오돔에서 식물을 자라게 한다는 것이다. 성공할 경우
식량
문제뿐 아니라 산소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기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내뿜은 이산화탄소를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산소로 바꾸고, 이것을 사람들이 다시 호흡하는 식의 순환이 이뤄진다. 하지만 그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3
인간에게 해로운 진드기나 모기 등을 작아먹을 뿐만 아니라, 물고기나 뱀, 새 등의
식량
이 되는 동물이에요. 따라서 개구리가 사라지면 먹이그물이 깨져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어요. 이뿐만 아니라 개구리는 세균을 죽이는 자연 항생물질을 갖고 있어 인간의 의학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어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