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한"(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닭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22
- 숲에 사는 늠름한 조상님, 적색야계전세계에서 키우는 닭의 품종은 약 250여 종에 달해요. 하지만 이들의 조상은 동남아시아의 열대우림에 사는 야생 닭인 ‘적색야계’(아래 사진)예요. 적색야계가 인간과 함께 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5000~6000년 경으로 알려져 있어요. 2012년 호주 뉴잉글랜드대학 ... ...
- IT창의과학탐험대 - 신서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20
- 반도체를 만든 곳이 여기예요.”중국 무석시에 자리잡은 SK하이닉스반도체(중국)유한공사에서는 컴퓨터에 쓰는 D램을 생산해요. 이곳에서 만든 반도체가 전세계 생산량의 13%를 차지한답니다. 그런데 웨이퍼가 뭔지 궁금하다고요? 반도체를 담는 얇은 원판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웨이퍼 위에 반도체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서울공대카페 34 에너지자원공학과]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11
- 있어요. 탐사나 개발, 자원 처리 기술이 발전하면 더 늘어날 수도 있겠죠. 물론, 그래도 유한한 자원이니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연구도 끊임없이 이뤄져야 해요. 환경 문제도 심각하니까요.정용권 교수님은 환경에 대한 연구를 하신다고 알고 있어요.정은혜 정확히 얘기하면 환경지구화학이에요.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09
- 형이상학적 사유의 핵심은 바로 ‘유한과 무한을 어떻게 화해시킬 것인가’였다. 그는 유한과 무한의 동일성을 연구하면서 무한을 둘로 구분했다. 직선처럼 끝없이 진행하는 ‘악무한’과 원처럼 끝이 있는 ‘진무한’이다. 이 과정에서 무한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며 미적분도 영향을 받았다.코시,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09
- 함수 값이고, 장 수는 함수 값에 해당하는 정의역의 길이, 즉 측도에 해당한다. 매상은 유한한 값이므로 두 방법 모두 같은 결과를 가져오지만, 무한히 많고 나눌 수 없는 수들을 더하는 경우에는 큰 차이가 생긴다.” 미분해도 원래의 함수로 돌아오지 않는다앞의 예로 돌아가 보자. 함수 값 2에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06
- 파장의 복사 에너지 를 합하면 무한대가 된다. 슈테판-볼츠만의 법칙과 모순되는 결과다. 유한한 온도의 흑체에서 무한한 에 너지를 얻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레일리-진스 이론에 서 에너지가 무한하게 발산하는 이유는 파장이 0에 가까워질수록 에너지 밀도가 무한하게 커지기 때문 이다. 이를 짧은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02
- 자리매김했다.최근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대 토목공학과 모스타파엘-스하미 교수팀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해 온도에 따라 강화유리가 외부의 힘을 견디는 정도를 계산할 수 있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강화유리를 삼각형과 사각형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알맞은 편미분 방정식을 세워 외부 ... ...
- [생활] 수학나라로 간 피노키오수학동아 l201501
- 참임을 직접 증명하기 어려운 명제를 귀류법으로 다루면 아주 편하다. ‘소수의 개수는 유한개다’에 대한 모순만 찾으면 ‘무한개’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귀류법이 없었다면 무한처럼 손에 잡히지 않는 개념을 수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훨씬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완벽해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01
- 모르겠습니다. 그 상황에서는 빛도 중력을 이기지 못해서 빠져나가지 못하거든요. 하긴 유한하다해도 태양이 반지름 3km 이하로 뭉쳐버리는 거니까 아마 그런 일은 없겠지요.”나올 때에도 여전히 비는 내리고 있었다. 나는 문득, 그가 앞으로 두 달 뒤에 죽는다는 것을 그에게 가르쳐 주었어야 했나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10
- 만한 변화를 겪으며 초고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4색문제(4색정리)4색문제는 평면을 유한개의 부분으로 나눠 각 부분에 색을 칠할 때, 서로 이웃하는 영역을 다른 색으로 칠해야 한다면 네 가지 색으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프랜시스 구드리의 질문에서 시작된 이 문제를 두고 많은 수학자들은 그래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