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응용과학"(으)로 총 1,84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02
- 시멘트 공장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 중 하나다. 시멘트를 1t 생산할 때 0.9t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연간 생산되는 시멘트 양은 약 40억t. 여기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36억t으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전체 이산화탄소 양의 8%다. 하지만 시멘트 제조 기술은 현재 한계에 이르러 생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02
- 2년 전 개봉한 스타워즈 시리즈의 7번째 작품인 ‘스타워즈 에피소드 7 : 깨어난 포스’에 이어 지난해 연말에는 ‘로그원 : 스타워즈 스토리’까지 나오면서 스타워즈 골수 팬들의 마음을 사로 잡았다. 특히 1970년대 초보적인 그래픽기술로 보여줬던 홀로그램이 시리즈를 거듭할수록 선명하고 세밀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02
- 지난달 막을 내린 세계 최대 IT 전시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17’의 주제는 연결성이었다. 자동차와 드론, 가전을 사용자와 더욱 긴밀하게 연결시켜주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 대단한 기술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단언컨대 ‘이것’이 없이는 인공지능도 사물인터 ... ...
-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02
- “연구 내용을 서로 교류할 기회가 DGIST에는 많아요. 일 년에 한 번 하는 융복합연구 페스티벌이나 매월 둘째 주와 넷째 주 화요일에 열리는 소규모 세미나도 있고요. 페스티벌에서 제가 생각지 못했던 아이디어를 (조창희 교수님이) 제안해주신 게 융합연구의 시발점이 됐어요.”백성호 DGIST 스마트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01
- 0과 1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숫자다. 컴퓨터의 작동 원리를 담은 숫자이기 때문이다.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기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1로, 차단된 것을 0으로 환산한 2진법 시스템으로 정보를 처리한다.이처럼 ‘On’과 ‘Off’를 1과 0에 대응시키는 방식은 굉장히 명쾌하지만 최선이라고 말할 ... ...
- [수학뉴스] 축제의 현장! 2017 브레이크스루상 시상식수학동아 l201701
- 2016년 12월 4일, 2017 브레이크스루상 시상식이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의 사회로 미국 캘리포니아주 미국항공우주국(NASA) 에임스연구센터에서 열렸습니다. 브레이크스루상은 기초물리학상과 생명과학상, 수학상과 더불어 장래가 촉망되는 젊은 학자를 위한 뉴 호라이즌상이 있습니다.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13
- 더운 여름에 왜 이렇게 오들오들 떨고 있냐고? 올여름, 무시무시한 것들이 습격할 거라는 경고를 받았거든. 드라큘라나 귀신, 좀비 같은 녀석들이냐고? 아니야! 이런 녀석들보다 몇 배는 더 무서운 녀석들이지. 그건 바로…, 벌레야! 작은 벌레가 도대체 뭐가 무섭냐고? 진짜 무서운 게 뭔지 지금부터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12
- 2017년은 뉴턴의 ‘프린피키아’가 출간된 지 330주년이 되는 해다.출간 당시 뉴턴을 지지하는 과학자들은 그의 새로운 물리학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여기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도 포함돼 있다. 바로 소수의 여성 과학자들이다.당시 과학은 여전히 남성이 주도하는 학문이었지만, 그럼에도 여 ...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지구에서 우주선을 보내는 것은 두 단계로 나눌 수 있어요. 첫 번째 단계는 지구의 중력을 이기고 대기권을 벗어나는 것이고, 두 번째 단계는 우주 속에서 원하는 목적지까지 날아가는 것이지요.우주선에 실린 연료의 대부분은 첫 번째 단계에서 쓰여요. 실제로 지구를 탈출하는 데 쓰이는 1단 로켓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12
- 일벌과 일개미가 자매를 돕는 이유는? 흔히 이들 사이에서는 자식보다 자매가 유전적으로 더 가깝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해밀턴의 ‘단수이배성 가설’이다. 이 가설은 포괄 적합도 이론의 응용일 뿐인데, 이를 포괄 적합도 이론 자체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만일 여러분이 해밀턴의 논문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