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쟁기"(으)로 총 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과학동아 l199111
- 몸을 나선형으로 움직여 깔때기 모양의 구멍을 판다. 그들은 털이 많은 복부로 흙을 파고 쟁기모양의 머리로 모래알들을 주위로 던져 올린다. 이렇게 구멍을 판 뒤 명주잠자리 유충(개미귀신)은 그 구멍 밑에서 머리와 집게 모양의 큰 턱만을 내밀고 웅크리고 있다.개미와 그밖의 먹이가 구멍 ...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과학동아 l199106
- 공헌한 거물 정치가나 기업가 행정가 계몽가 학자는 오히려 뒤로 밀린다. 하찮은(?) 쟁기를 개량한 농군이나 일개 기술감독에 지나지 않는 젊은이에게 이토록 지나치리만큼 융숭한 대접을 하다니…. 같은 동양인인 필자조차도 그 동상 앞에서 어리벙벙해졌다. 아무튼 이 두 동상은 일본인의 ... ...
- 석기시대 목동들과학동아 l199105
- 목동자리와 큰곰자리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어떤 이야기에 따르면 목동은 쟁기를 들고 있거나 혹은 마차를 몰고 있는 것처럼 보여진다(이 경우 북두칠성은 마차나 쟁기). 그러나 가장 널리 알려진 신화에 따르면 이 별자리의 주인공은 목동, 혹은 극주위를 돌며 큰곰을 추적하는 ...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과학동아 l199104
- 말이 모는 수레(고대 바빌로니아), 곰(사발)을 쫓는 세 명의 사냥꾼(인디언), 밭을 가는 쟁기(유럽). 이외에도 나라와 시대에 따라 그 이름은 매우 다양하다. 그래도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역시 국자의 모습이다.헤라여신의 질투별자리를 이야기할 때 북두칠성은 큰 곰자리의 엉덩이와 꼬리 ...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과학동아 l199001
- 크지 않으나 힘이 세고 인내력이 많아 무거운 짐을 가득 실은 마차를 끌기도 했고, 쟁기를 끌어 논밭을 갈기도 했다.어디 그뿐인가. 걸음이 빨라 파발마로 이용되기도 했고 사람을 등에 태우고 싸움터에 나가 주인과 운명을 같이 하기도 했다.이런 말들이 야생에선 언제부터 살았을까.여우만한 ... ...
- 달력이 탄생되기 까지과학동아 l198801
- 법칙을 알고 이것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했다. 인간은 열매를 따는 막대기, 땅을 일구는 쟁기, 수렵을 할 때 사용하는 날카로운 도구에서부터, 눈 비 태양열과 같이 변화시키기 어려운 천연조건에 이르기까지 이 모든 것을 파악하여 자신들의 경제활동에 이용하면서 자연에 적응하거나 대립하면서 ... ...
- 따비, 괭이에서 달구지, 트랙터까지 농업의 역사를 한눈에과학동아 l198801
- 것으로 전시된 것은 강원도 철원과 경기도 양주에서 출품한 것. 겨리쟁기와 함께 호리쟁기도 전시돼있는데 이는 평지서 한마리의 소가 끄는 것이다. 무자위도 이 시대의 중요한 농기구. 물을 대는 연장으로 18세기 중엽에 사용됐는데 전시된 무자위는 부여와 부안에서 출품된 것으로 수차(水車)와 ...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과학동아 l198705
- 높은 가격이 농업 경영자들의 기계도입을 촉진시켰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종래에 쟁기나 수확기, 탈곡기나 파종기가 하던 역할을 트랙터가 떠맡게 된 것이다. 더우기 제2차 세계대전은 이 추세를 더욱 가속화시켰다. 특히 전후 일본에서 개발한 소형 트랙터(경운기)는 곡물 증산에 돌풍을 일으켰다. ... ...
- 울릉도와 독도과학동아 l198608
- 대섬에 사는 주민들은 빗물을 받아서 식수와 사료로 쓰고 있고, 소 대신 사람이 끄는 쟁기가 아직도 남아 있는 등 현대문명에서 찾아보기 힘든 생활상을 보여준다.울릉도의 해안은 거의가 암벽으로 되어 있어서 배와 사람의 접근을 어렵게 하고 있다. 가파른 절벽의 해면부근은 바닷물의 ... ...
이전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