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쟁기"(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음머~! 고기를 주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메고 있던 것으로 보이는 쟁기도 저 멀리 내팽개쳐져 있었지요. 꿀록 탐정이 말했어요.“쟁기질을 하다 말고 널브러지다니, 그 유명한 ‘소가 된 게으름뱅이’신 모양이군요. 웬 할아버지가 준 소 탈을 쓰고 소가 되었다죠? 그나저나 주인댁은 어디 가셨습니까?”“아이고, 꿀록 탐정님. 내 이야기 좀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얕은 곳은 사람이 직접 잠수해 설치하거나 커다란 쟁기를 써요. 마치 밭을 가는 것처럼 쟁기가 바다 밑바닥을 파내며 케이블을 묻지요. 수심이 깊은 곳이나 바다 밑바닥이 단단할 경우에는 수중 로봇의 도움을 받아요. ‘원격 조종 수중 로봇(ROV)’이라고 불리는 이 로봇은 팔이 달려 있어서 ... ...
- [Issue] 韓 ‘세계 혁신 국가 1위’ 의미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함정이란 1798년 ‘인구론’을 쓴 토머스 맬서스의 이름을 딴 것이다. 물론 농업사회도 쟁기 같은 새로운 도구가 도입되거나 사회 질서가 안정된다면 성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산업혁명으로 화학 비료가 도입되기 이전까지, 농업에는 한 가지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다. 바로 ‘수확체감’ 문제였다.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쟁기를 끄는 소의 모습을 본떠 만들어진 한자예요. 뜻을 나타내는 ‘소 우(牛)’와 쟁기와 모양이 닮은 ‘말 물(勿)’을 더해 만들었지요. 이 글자를 보면 옛 사람들이 소를 만물을 대표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는 걸 알 수 있어요. 농사로 식량을 만들어내던 시대에 소가 얼마나 중요했는지 잘 알 수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더미에 버리며 깊은 한숨을 쉬셨다. 곤충을 들여다 볼 시간이 있으면 오리를 키우거나 쟁기로 밭고랑을 파야 마땅하다면서.#3 아, 여기였구나. 바로 앞이었네. 고맙습니다. 그런데 이 박물관에 혹시 곤충학자들이 찾아와서 기념식을 하진 않나요? 파브르가 죽은 지 100년째 되는 해라 행사가 있을 것 ... ...
- 기계공학, 바이오로보틱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일구는 데 쓰는 쟁기와 지퍼, 이 둘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치과용 드릴과 수력발전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서로 너무나 다른 기계지만 그 속을 알고 보면 빗면이나 축바퀴의 원리 등 공통적인 과학원리가 쓰였다. 기계가 왜 그렇게 움직이는지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과학원리를 상세한 글과 친절한 ...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있는 땅은 100m2에 불과했지만 소는 하루에 무려 4000~5000m2나 되는 밭을 갈 수 있다. 또 소는 쟁기를 끌어 땅의 지력을 높였다. 가축을이용함으로써 곡식을 재배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이다.이제 사람들은 한 곳에 터를 잡고 농사를 지었다. 더 이상 돌아다니지 않아도 돼 임신을 자주 할 수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아저씨가 다듬망치를 잡자, 대장간에도 다시 활기가 넘쳤다.“쟁기가 휘었어.”“이것 좀 봐봐. 칼날이 너무 무디지 뭐여.”사람들은 저마다 들고 온 농기구를 내밀었지만, 제 순서가 오려면 한참을 기다려야 할 판이었다. 그래도 누구 하나 불평하는 이는 없었다. 오히려 ... ...
- 풍속화 속에 천문학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김홍도의 예요. 겨울 동안 딱딱하게 굳은 땅을 부드럽게 해 주기 위해서 봄에 쟁기질로 논을 가는 모습을 그렸어요. ➋ 김두량, 사계산수도(부분), 비단에 옅은 채색, 7.2×182.9㎝, 1744년, 국립중앙박물관조선시대 화가 김두량은 사계절을 보내는 선비의 모습을 계절별로 그린 를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조용할 날이 없다니까.’달포아저씨네 대장간은 저잣거리 가운데에 있다. 호미, 낫, 쟁기 따위의 농기구나 사냥도구를 고치는 대장간은 늘 사람들로 북적거렸고, 그 때문에 조용할 날이 없었다. 장이 서는 날이면 더했다. 오늘도 대장간에선 사소한 시비가 벌어진게 분명했다. “아저씨, 무슨 ... ...
1234 다음